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전통 음식조리서에 나타난 한국어 음식맛 표현의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Expressions Describing the Taste of Food in Traditional Korean Cookery Books

백두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plores expressions describing taste which appear in the traditional Korean cookery books from various angles. Once the gustatory terms used in the recipes have been classified, their meanings have been analyzed. The main finding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 Expressions describing the taste of food in relation to the simple gustatory terms ‘dalda, s'ɨda, ʧ'ada, sida, mɛpda’(달다, sweet; 쓰다, bitter; 짜다, salty; 시다, sour; 맵다, spicy, respectively) have first been searched and analysed. Among simple terms describing sweetness, many are used in expressions making comparisons with honey. Words like dɨlkhɨnhada (들큰하다, sweetish) can also be found. Among compound terms, unusual expressions, such as dalgoms’ɔpsal (달곰살,bittersweet),dalk’oms’aps’ap(달쌉쌉,bittersweet), bithɨldalgomhɔn (비틀달곰, unpleasantly sweet/fishy and sweet), can be found. Terms describing bitterness appear to be far less used than those describing sweetness; thus, word-forms of this category are not varied. Expressions describing saltiness are relatively simple; nonetheless, the forms tʒɔʤɔri (이-, -salty) and ʧ'ɔpʤɔri (ᄧᆞᆸ리, salty) can be found in the 19th-century writings. Expressions of this category are crucial in determining whether the food tastes salty or bland, thereby being found in abundance. Based on the simple word sɨyda (싀다, sour), the terms sɨykɨmhɔda (싀금다, acidulous) and sɨyʧhyəgɨnhɔda (싀쳐근다, sour and bitter) are used to describe sourness. The word mɛpda (다, spicy) is used to describe strong alcohols in the Korean Cookery Books. 2) Expressions that combine the gustatory sense with other senses have been designated as ‘multisensory taste expressions’. Nonetheless, while expressions combining gustation with either vision or olfaction can be found, there are no expressions combining gustatory, visual, and olfactory senses all together. 3) When taste is described in negative terms in the Korean cookery books, saonapda (사오납다, unsavoury) is the most frequent term. Mat əpda (맛 없다, unpalatable), mumihada (무미하다, tasteless), and ʧohʧi mot hada (좋지 못하다, not so good) are occasionally used along. Besides, there are few instances in which terms expressing bitterness and sourness are found to be used to express taste negatively. 4) Taste expressions in cookery book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are far less developed than those in the Korean manuscripts. Multisensory taste expression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the Korean manuscripts, are rather scarce in the Chinese manuscripts. Monosyllables that express a general judgement, such as ho (好, good), myo (妙, strange), gi (奇, peculiar), ka (佳, gorgeous), as well as the disyllables ʧəlsɨng (絶勝, outstanding) and isang (異常, unusual [보통 아닌] / extraordinary [보통보다 가장 좋은]) have been identified in the Chinese manuscripts. The latter two are common to both Korean and Chinese manuscripts, which shows their close correlation.

한국어

이 글은 조선시대의 한글 음식조리서를 중심으로 미각어와 맛 표현의 다양한 양상을 밝혔다. 단맛(甘)의 단일 미각어 표현에는 꿀을 비유한 단맛 표현이 자주 쓰였고, ‘들큰하다’와 같은 단맛 표현 어휘도 발견된다. 단맛의 합성 미각어에는 ‘달곰살’, ‘달쌉쌉’, ‘비틀달곰’ 등 특이한 것들이 나타난다. 쓴맛의 표현 미각어는 단맛 표현에 비해 훨씬 적으며, 그 어휘의 분화에 따른 다양한 어형을 찾을 수 없었다. 짠맛 표현어들은 비교적 풍부하게 나타나며, ‘달곰살’와 ‘이’는 19세기 문헌에 나타나 있다. 신맛의 표현어는 ‘싀다’를 기본으로 ‘싀금다’와 ‘싀쳐근다’ 등이 쓰였다. 한글 음식조리서에서 ‘다’는 술맛이 독하다는 뜻으로 쓰였다. 한글 음식조리서의 복합 감각어 맛 표현에서는 미각을 다른 감각과 결합한 방법에 대해 논하였다. 미각과 시각, 미각과 후각이 각각 결합한 맛 표현은 있으나 미각, 시각, 후각을 함께 결합한 맛 표현은 찾기 어려웠다. 종합적 평가 맛 표현에서는 음식 맛을 전체적으로 표현한 양상을 긍정적 표현과 부정적 표현으로 나누어 논하였다. 한문 음식조리서에 나타난 맛 표현은 한글본의 그것보다 단순한 모습을 보이며, 한글본의 맛 표현과 공통적인 한자어 표현이 나타난다. 20세기 현대한국어에 와서 미각어가 더욱 풍부하게 발달한 것은 식품 생산기술의 발전에 따른 경제적 여건의 변화, 한국어를 통한 문학 작품의 증가 및 외국 문학작품의 번역, 20세기 한국인이 겪은 고난의 사회적 경험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결과라는 문화어문학 해석을 시도해 보았다.

목차

요약
 1. 연구 목적과 연구 대상 문헌
  1.1. 연구 목적
  1.2. 연구 대상 문헌
 2. 전통 음식조리서에 나타난 다양한 맛 표현
  2.1. 한글 음식조리서의 맛 표현
  2.2. 한문 음식조리서의 맛 표현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백두현 Paek, Doohyeon.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