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춤비평: 글을 통해 나타나는 작품 이미지 추론의 구성 요소와 의미 : 국립현대무용단<이미아직>작품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Dance Critique : Factors Constituting Inferenceof Work Image Revealed in Text Mainly deals with <AlreadyNotYet> byKorean National Contemporary Dance Company

김민정, 박순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dance critics' way of writing to make the general public appropriate images.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ages in writings inferred by read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of aesthetic works by critics who compose images in their writings. In this study, the inference process of images for the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works was described by investigating the factors appearing in dance critics' writings on their impression of the works. By describing a critic's way of writing, which is shown in the critique on the Korean National Contemporary Dance Company's , the components and meaning of image inference in the work were examined. The study found that the trends in the form of the aesthetic work from critics' appreciation could be summarized as generalization and the universalization. It could be seen that the generalization acted as the basis of a basic judgement for the quality of the work, which appeared through understanding the subject and themes of the work. The universalization presented image refinement of inference for the analysis with technical requirements for aesthetic characteristics, form, social and philosophical structure, thoughts and ideas, and artistry. The critics writing on works has an open attitude to possess a convergent direction of interpretation as a progressive form against the abstractness appearing in the art of human society. However, it could be seen that the functional descriptions of artworks were presented to readers as as an association process of image inference in a censored form (which is generalization and universalization) in order to identify human society as cultural, social, and historical form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춤 비평가들의 어떠한 글쓰기 작업 방식이 대중들에게 적절한 이미지 추론을 하게 만들어주는가에 대한 분석이다. 구체적으로 글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를 구성하게 만드는 비평가들의 미학적 작업의 요인에 대하여 알아봄에 따라 독자들이 추론할 수 있는 글의 이미지에 대하여 파악해보고자 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작품 해석과 분석을 위한 이미지 추론 과정의 연구는 감상을 통해 나타나는 춤 비평가들의 글쓰기 작업을 통해 나타나는 요소들을 파악해 봄에 따라 기술해보고자 하였다. 국립현대무용단 <이미아직> 평문 분석을 통하여 나타나는 비평가의 글쓰기 작업 방식을 기술함에 따라 작품에 대한 이미지 추론의 구성요소와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로 나타나는 비평가들의 감상에 따른 미학적 작업의 형태는 일반화 작업과 보편화 작업으로서 그 경향성을 정리해볼 수 있었다. 일반화 작업은 작품의 소재와 주제 파악을 통해 나타나는 작품성에 대한 가치판단의 기본적 판단 근거로 작용하며, 보편화 작업은 미학적 특질, 형식, 사회적․철학적 구조, 사상 및 관념, 예술성에 대한 기술 요건을 가지고 분석을 위한 추론의 이미지 구체화 작업이 나타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작품에 대한 비평가의 글쓰기 작업은 인간 사회의 예술에서 나타나는 추상성에 대항하는 진보적 형태로서 수렴적인 해석 방향을 갖고자 하는 개방적 태도를 갖추고 있지만, 예술 작품이 가지는 기능적 묘사에 대해서는 문화적․사회적․역사적 형태로서 인간사회의 규명을 위해 검열 형태의 이미지 추론의 연상 작용, 즉, 일반화, 보편화 작업으로서 독자들에게 제시됨을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작품의 주제와 소재의 설정에 따른 이미지 추론의 성격
 Ⅲ. 작품에 대한 이미지 추론의 구성 요소와 의미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민정 Kim, Minjeong. 숙명여자대학교 박사
  • 박순자 Park, Soonja. 숙명여자대학교 무용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