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EVE about culture & art education and social tendencies have on adult educatees eliminating controlled mechanisms. Quantitative research on those in their 40s and 50s was execut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GEVE and individualism, REVE and collectivism. GEVE has a higher influence on actualization of self-efficiency, FEVE on reignition of retained desires, REVE on substantialization of non-isolation, individualism on actualization of self-efficiency, and collectivism on substantialization of non-isolation. This research evokes the importance of an interdisciplinary and integrated understanding of EVE in culture & art education, educatees' social tendencies, and their psychological mechanisms. Also,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following research and practical adaptation related to developing programs, secur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priateness reflecting social requirements, and operation, evaluation, and management considering reciprocalit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공감기대가치와 사회적 성향이 학습자의 통제된 기제 해소에 미치는 영향 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4050세대 대상의 정량적 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목표지향 공감기대가치-개인주 의, 관계지향 공감기대가치-집단주의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목표지향 공감기대가치는 자아효능 감 현실화에, 즐거움 공감기대가치는 유보된 욕망 재점화에, 관계지향 공감기대가치는 탈고립 실제화에, 개인주의는 자아 효능감 현실화에, 집단주의는 탈고립 실제화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공감기대가치와 학습자의 사회적 성향, 그리고 학습자의 심리적 기제에 대한 학제적·융합적 이해의 필요성을 환기시키고, 나아가 이에 기반 한 프로그램 개발, 사회적 요구에 대처한 질적·양적 적합성 확보, 호혜성을 고려한 운영, 평가, 관리 등과 연계된 후속 연구와 실무적 적용이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현대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
2.2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공감기대가치
2.3 사회적 성향
2.4 통제된 기제(機制) 해소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3.1 연구문제
3.2 구성개념 및 변수
3.3 조사 대상 및 방법
3.4 척도의 개발
4. 결과
5. 결론
5.1 논의 및 시사점
5.2 연구의 의의와 한계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