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실시간과 비실시간 소셜미디어 활용유형 차이분석

원문정보

Analyses of the Patterns of the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Social Media Usage in College e-Learning Settings

엄상현, 임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in a rapid way, a lot of users get to be familiar with social media. Accordingly, the possibility of social media for educational use has increased. From the view point of learning, social media help learners make communities of practice that can lead to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is study, two different types of social media,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were compared in terms of usage patterns in the e-learning settings of college level. Content analysis has figured out four factors: learning content, tasks and assignments, emotional communications, and chatting. There found to be a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postings in all of the factors except tasks and assignments. In the qualitative interviews, the participants told various usage patterns of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social media. In sum, the learners generally preferred synchronous social media. Rather, asynchronous social media were mainly used for deep thinking and summarizing. Last,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the learners in the digital and social media age.

한국어

IT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소셜미디어가 많은 사용자들에게 보급되었으며, 교육적 활용가능성에 대한 논의도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학습의 관점에서 소셜미디어는 학습공동체를 형성하여 집단지성을 발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도구로 평가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실시간 소셜미디어와 비실시간 소셜미디어를 활용하 는 양태를 비교분석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소셜미디어의 활용유형은 크게 ‘학습내용’, ‘학습지원’, ‘형용적 표현’, ‘잡담’으로 나뉘어졌다. 실시간과 비실시간 소셜미디어 활용결과는 학습내용, 형용적 표현, 잡담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실시간 소셜미디어의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인터뷰에서는 학습자들이 실시간 및 소셜미디어의 특징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학습자들은 대체적으로 실시간 소셜미디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으 며, 비실시간 소셜미디어는 숙고와 정리를 위해 체계적으로 활용되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및 소셜미디어 세대에 대응하 는 교육적 지원방안이 제언으로 논의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소셜미디어와 학습
  2.2 소셜미디어와 동시성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수업도구
  3.3 연구도구 및 절차
 4. 연구결과
  4.1 내용분석 결과
  4.2 대화유형에 따른 차이분석
  4.3 인터뷰 결과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엄상현 Sang-Hyeon Eom. 건국대학교
  • 임걸 Keol Lim. 건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