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문학과 더불어 2016, 교정을 생각하다>

박탈공간으로서의 교정시설 - 박탈에서 회복으로 -

원문정보

Prison Facility as Deprived Space : from Deprivation to Restoration

한영선, 이명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modern prison was established in America 226 years ago, a primary goal has been to turn a prisoner into a sound civilia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correctional authorities develop various kinds of programs and provide them. However, the result is not sufficient. Probably, it is the limitation that they want to lead positive "response(rehabilitation)" through the negative "stimuli(punishment)". Besides this flaw, there is another factor to hinder the rehabilitation. It is the "places" that prisoners live. Human beings are socialized through interaction with environment. Thus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prison setting as a place. Basically the prison aims to isolate prisoners from society. It functions as sensory deprivation. Deprivation includes all kinds of human activities such as freedom, autonomy, safety, memory, family, etc. If prisoners do well after release despite exposed in this condition for a long time, it is the reason why endless efforts of prison officers and volunteers prevent them from being deteriorated. Now it is the time that we should start to make this isolating setting(places and systems) into more restorative ones. There are not sufficent researches. I hope this paper to stimulate lots of researchers to think over this issues.

한국어

226년 전 미국에서 현대적 개념의 교도소가 설립된 이래 교정당국은 교정시설의 궁극적인 목표 즉 교정교화를 통한 재소자의 재사회화와 건전한 사회인으로의 복귀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교정교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그 결과물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아마도 교정시설의 핵심 키워드는 형벌이라는 부정적인 “자극”을 통하여 교화개선이라는 긍정적인 “반응”을 도출하려는 한계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것 말고도 재소자의 개선을 방해하는 요인이 있다. 재소자가 “생활하는 공간”에 대한 고려이다. 인간은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회화된다. 따라서 재소자가 생활하는 수용공간과 그 환경에 대한 고려는 효율적인 교정행정 수행과 재소자의 회복을 위한 출발선이다. 격리된 공간은 박탈을 의미하고, 박탈의 종류에는 자유와 자율뿐만 아니라 안전, 기억, 가족 등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인간적인 삶이 포함된다. 만일 이러한 박탈공간에 오랫동안 노출되고서도 재소자들이 사회에 복귀하여 정상적인 회복을 보인다면 그것은 오직 교정시설에서 근무하는 교도관과 자원봉사자들의 힘이 이러한 박탈을 최소화하고 그들에게 살아갈 수 있는 희망과 에너지를 공급하기 때문이다. 사람만이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진리이지만 이제는 생활공간과 시스템을 보다 회복적으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여야 할 때다. 지금까지 격리 공간으로서의 교정시설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상태이다. 아무쪼록 본 연구가 교정시설이라는 공간에 대한 연구를 일으키는 단초가 되기를 희망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공간으로서의 교정시설
  1. 교정시설의 개념과 특수성
  2. 박탈수단으로서의 격리
  3. 격리된 생활공간
 Ⅲ. 결어: 회복공간을 꿈꾸며
  1. 치유를 위한 공간
  2. 보호를 위한 공간: 성경에서의 도피성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한영선 Han, Young-Sun. 법무부 서울보호관찰심사위원회
  • 이명숙 Lee, Myung-Sook. 경기대 사회과학대학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