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rticles

나바이스(D. Narvaez)의 도덕적 전문성 모형의 도덕 교사 교육적 함의

원문정보

Ethics Teacher Educational Implications of D. Narvaez’s Moral Expertise Model

김하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implications to ethics teacher education of moral psychologist D. Narvaez’s Ethical Expertise Model.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 and purpose of Narvaez’s model. The concepts of novice-to-expert pedagogy, moral schema, moral skills, and ethical know-how as embodied cognition which are main concept of Narvaez’s model were discussed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Moral Expertise Model. Based on these discussions, ethics teacher’s role and required qualities by Moral Expertise Model was presented as moral exemplar who is provider cares, moral climate creator of classroom and school, provider chance of guided participation and center point of ethics education linked to family and community.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preservice and continuing ethics teacher education was suggested to cultivate ethics teacher’s ability and quality.

한국어

본 연구는 도덕 심리학자 나바이스의 도덕적 전문성 모형이 도덕 교사 교육에 갖는 함의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나바이스의 도덕적 전문성 모형의 개념과 목적을 살펴보고, 도덕적 전문성 모형을 설명하는핵심 개념인 ‘초보자에서 전문가로의 접근, 도덕적 스키마, 도덕적 기술, 체화된 인지로서 도덕적 노하우’를 중심으로 각각의 이론적 기초와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도덕적전문성 모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하여 도덕적 전문성모형에 따른 도덕 교사의 역할을 ‘배려를 제공하는 도덕적 본보기, 교실 및 학교의도덕적 분위기 조성자, 안내된 참여의 기회 제공자, 가정 및 지역 사회와 연계한 도덕 교육의 구심점’으로 제시하고 그에 따라 요구되는 자질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도덕 교사의 역할 수행 능력 및 자질 함양을 위해, 현행 도덕 교사 양성 교육 과정 및 현직 교육 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도덕 교사의 양성 교육과 현직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도덕적 전문성 모형에 대한 이해
  1. 도덕적 전문성 모형의 개념 및 목적
  2. 도덕적 전문성 모형의 핵심 개념
 Ⅲ. 도덕적 전문성 모형의 실천 단계에 따른 도덕 교사의 역할 및 자질
  1. 도덕적 전문성 모형의 실천 단계
  2. 도덕 교사의 역할 및 자질
 Ⅳ. 도덕적 전문성 모형에 기초한 도덕 교사 교육 방향
  1. 도덕 교사 양성 교육
  2. 도덕 교사 현직 교육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하연 Kim, Ha-Yeon. 서울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