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습자 관점에서의 대학교수 강의역량 요인 도출 및 강의 수준에 따른 차이 분석

원문정보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y Factor Derivation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and Analysis of Difference in Lecture Level

하오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derive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y factors based on the directly-evaluated data of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y, identify the teaching competency that distinguishes university professors who are excellent at giving a lecture from those who aren’t, and provide the data to draw up measures to improve this teaching competency. To achieve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y especially regarding the courses that the survey participants had took in D University, a four-year-course college located in Seoul. As a result, the findings from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y, ten factors that could account for total variance by 47% were drawn. Factor 1 was named as‘systematic composition and explanation’, Factor 2 ‘participation attraction’, Factor 3 ‘evaluation capacity’, Factor 4 ‘vibrant class formation’, Factor 5‘media utilization capacity’, Factor 6 ‘attitude toward students’, Factor 7‘presentation skills’, Factor 8‘class operation competence’, Factor 9 ‘class preparation competence’and Factor 10 ‘content expertise’. Second, with respect to lecture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all ten subgroups were less sufficient in teaching competency than upper-level group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01, in particular, ‘systematic composition and explanation’ and ‘vibrant class formation’ showed a higher difference. Third, media utilization capacity was evaluated as being less than any other capacities in upper-level teachers as well as low-level ones. Fourth,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systematic composition and explanation’, ‘evaluation’, ‘content expertise’ and ‘participation attraction’among the total ten capacities appeared as predicting variables that could evaluate excellent lectu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made an empirical analysis of and provided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y factors that were difficult to identify so far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and also provided the empirical basic data for finding out which teaching competency should be concentrated into and supported by making a detailed diagnosis of insufficient teaching competency among the professors who were evaluated as low in lecture level.

한국어

본 연구는 학습자가 직접 평가한 대학교수 강의역량 자료를 바탕으로 대학 강의 현장에 서의 실제적인 대학교수 강의역량 요인을 도 출하고자 했으며, 또한 강의를 잘하는 우수 한 대학교수와 그렇지 않은 교수를 구별 짓 는 강의역량을 파악하여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D대학에 서 실제 수강 한 강의에 대한 대학교수 강의 역량을 평가하는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수 강의역 량은 요인분석 결과 총분산을 47% 설명하는 10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1요인은 ‘체계적 구성과 설명’역량, 2요인은 ‘참여유도’역 량, 3요인은 ‘평가’역량, 4요인은 ‘활기찬 수업조성’역량, 5요인 ‘매체활용’역량, 6 요인은 ‘학생에 대한 태도’역량, 7요인은 ‘프레젠테이션’역량, 8요인 ‘수업운영’ 역량, 9요인 ‘수업준비’역량, 10요인은 ‘내용 전문성’역량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강의평가 하위집단은 10개 모든 강의역량이 유의수준 0.001에서 상위집단보다 부족했지 만 특히 ‘체계적 구성과 설명’역량, ‘활 기찬 수업조성’역량에서 더 큰 차이를 보였 다. 셋째, 매체활용역량은 하위교원뿐만 아니 라 상위교원에서도 다른 역량에 비해 낮은 역량으로 평가되었다. 넷째, 회귀분석결과 10 개 역량 중에서 ‘체계적 구성과 설명’역 량, ‘평가’역량, ‘내용전문성’역량, ‘참 여유도’역량 변인이 우수한 강의를 평가할 수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파악하기 어려웠던 대학교수 강의 역량 요인을 학습자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분 석하여 제공하였으며 또한 강의수준이 낮은 교수의 부족한 강의역량을 세부적으로 진단 함으로써 어떤 강의역량에 집중해서 지원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실증적인 기초 자료 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역량의 개념 및 특성
  2. 대학교수 강의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
  3. 교수효과성과 강의평가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Ⅳ. 분석 결과
  1. 학습자 관점에서의 대학교수 강의역량 요인 도출
  2. 강의평가 수준에 따른 대학교수 강의역량 요인별 차이
  3.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교수 강의역량 요인
 Ⅴ. 결과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하오선 Ha, Oh-Sun.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