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비교과프로그램이 대학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K 대학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Study on the effects of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Influencing the Cor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박창남, 정원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affect core competencies based on survey of perceptions and needs on those programs of K University students, and to suggest directions of non-subject education. The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of K University are classified into 3 domains, which are self-understanding, competency reinforcement, and experience, and experience domain affects the most on developing core competency of K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correlation of which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 affects on developing specific competency, and restructure existing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necessity of developing competency of students actually, 2)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grams related to related to experience domain which influences academic achievement significantly, 3) It is needed to design student customized programs in order to enhance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effectiveness of program implementation. Considering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shows how universities should establish a variety of student needs-based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and give a direction how they can lead students to experience different types of such programs and achieve their educational goals.

한국어

본 연구는 k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인식조사를 통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비교과 교육의 방향성을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k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은 자기이해, 역량, 체험 영역으로 구분되며, 실제 분석결과 k 대학 재학생의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비교과 프로그램은 체험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실제 설계된 비교과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어떠한 역량을 키워주는지 재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의 역량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램 위주로 기존 프로그램을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체험 영역과 관련된 비교과 프로그램이 역량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비교과 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 및 효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학생수요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의 설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함의는 대학이 수요자 중심의 체계적인 비교과 교육과정 및 운영체계를 구축하고 학생들의 참여와 프로그램 운영 목적 달성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라 하겠다.

목차

1. 서론
 2. 이론 및 현황분석
 3. 연구설계
 4. 분석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창남 Park, Chang Nam. 건양대학교 기초교양교육대학
  • 정원희 Chung, Won Hee. 건양대학교 국방경찰행정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