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tical Theory and Christian Education

원문정보

비판이론과 기독교교육

Yunsoo Joo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recent heir of critical theory, Jürgen Habermas criticizes positivism and the reductivist tendencies of scientific methods by unmasking the objectivist illusion of “pure” disinterested knowledge. He argues that knowledge cannot be free from the natural interests of life and their irritating influence. According to Antonio Gramsci, a sociologist, hegemony is a whole body of practices and expectations which forms the limits of common sense, habits, and assumptions fundamentally rooted in a society.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the main agencies perpetuating the hegemony by transmitting cultural capital and intellectual property. Under the rubric of culturalism, Christian education has often served to legitimize and further the dominant culture by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selective tradition and selective history. Moreover, hidden curriculums in Christian education have often supported unbiblical values such as materialism, individualism, or imperialism, further exacerbating the negative influence on the already victimized people in society rather than indemnifying them. With the insight of critical theory, this article argues that Christian educators should critically examine the formal and hidden curriculum in order to prevent Christian education from reproducing the dominant culture and value which are opposite to those of Christianity. Additionally,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Christian education should include a dimension of critical reflection and the subjective formation of meaning as well as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and indoctrination. When curriculum developers, teachers, and students cooperate to critically analyze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their respective traditional assumptions, they can offset the unjust and oppressive features in Christian education.

한국어

비판이론은 사회현실과 문제를 합리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적극적 으로 대처할 수 있는 올바른 비판의식을 갖춘 자율적인 인간 양성을 교 육목적으로 삼는다. 그러나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보면 기존의 학교교 육은 불평등하고 불공정한 정치·경제구조를 반영할 뿐 아니라, 계급편 향성을 띄며 개인의 의식구조, 가치관, 태도 등을 속박하고 왜곡함으로 써 오히려 사회의 불합리성을 재생산하고 증폭시켜왔다. 역사적으로 종교교육 역시 불평등하고 불합리한 지배체제를 정당화하고 영속화시 키는데 이용된 바 있다. 또한 무비판적으로 수행되는 잠재적 교육과정 은 그 가운데 내재된 물질주의나 패권주의를 부지불식간에 전수함으로 써 성경적 관점과 상반되는 가치들을 재생산하고 확대하는 결과를 초 래하기도 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독교교육은 학습자들이 사회 적 모순을 인식하고 불합리한 사회적 요인을 분석·통찰할 수 있는 반성 적인 존재, 제도화된 모순구조를 개혁할 수 있다는 자율적이고 주체적 인 존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기독교교육의 교수-학습방 법은 학습자를 피주입자 혹은 방관자로 취급하는 맹목적적인 주입식 교육을 탈피하여 비판적 성찰능력과 주체적 사고능력을 배양하는 데 힘써야 한다. 또한 교육활동을 단순히 기존의 지식과 교리를 축적하는 저금행위로 취급하거나 물상화하는 사고를 극복하고, 기독교교육이 이루어지는 곳 이 곧 부정의와 불평등에 의해 상처받은 인간들이 구조적· 정신적 억압으로부터 해방되고 치유되는 장, 인간존엄성이 회복되는 장, 자유롭고 정의로운 사회 창출을 모색하는 장이 되도록 발전시켜 나 가야 한다. 이러한 기독교 교육은 궁극적으로 이 땅 가운데 하나님의 나라, 하나님의 통치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Critical Theory
  1. Knowledge and Human Interest
  2. Hegemony
  3. Conflict vs. Consensus
 III. Christian Education from Critical Theory’s Perspective
  1. Uncritical Indoctrination
  2. Hidden Curriculum
 IV. Toward Critical Christian Education
 V.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Yunsoo Joo 주연수. Busan Presbyterian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