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종묘제례악 귀인류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Original form and Musical Changes of Gwiin 歸仁 group in Jongmyo Jeryeak宗廟祭禮樂

문숙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s the process of the musical changes of Jongmyo Jeryeak Gwiin, Hyeongga, Jipnyeong, Yunghwa, Yonggwang, Jeongmyeong, Junggwang, Yeokseong, Bunung, Chongsu, Hyeokjeong, Yeonggwan which have been changed successively from the original forms in 『Sejosillok Akbo 世祖實錄樂譜』 tothe forms in 『Sokakwonbo 俗樂原譜 In 仁』. The Jangdan 長短 of these music pieces is Hyangak 鄕樂 Jangdan. This Jangdan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Jongmyo Jeryeak. The rhythms of this Jangdan are the same as the rhythms of Goyopyunssang 鼓搖鞭雙 Jangdan which are used most widely in Hyangak. This Jangdan was derived from Goyopyunssang Jangdan by adding some additional touch points. Some melody of this music was taken from the music of Goyopyunssang Jangdan which is Hyangak. This music appears in three types, which are shown in Daeguk大國1, 2, 3 of Goyopyunssang Jangdan. The rhythms of this music are the same as those of Daeguk1, 2, 3. The major rhythm of this music is 4/♩. which has four standard beats, each of which consists of three smaller beats. Only Jeongmyeong‘s rhythm is 4/♩which has four standard beats, each of which consists of two smaller beats. Although both rhythm 4/♩. and rhythm 4/♩have four standard beats, the tempo of rhythm 4/♩is faster than that of rhythm 4/♩.. From 『Daeakhubo 大樂後譜』, Yonggwang and Jeongmyeong were merged into one, whose rhythm gets faster from 4/♩. to 4/♩. The rhythm of this music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our traditional music. In these music pieces of 『Sejosillok Akbo』, the melodic forms are reasonably fit to their verse forms. The length of each Chinese character is uniform and the length of each verse phrase is also uniform. Since each verse phrase ends up a melodic phrase, this music delivers the meaning of the verses very well. These music pieces which fit to their verses were handed down until 『Daeakhubo』. In 『Daeakhubo』, some rhythmic types were simplified. This change occurred consistently in this music. In 『Sokakwonbo In』, however, some other changes occurred. These changes are inconsistent over the music pieces, and they make the music unfit to their verses. The changes which occurred in 『Sokakwonbo In』 made the music irrational.

한국어

본 연구는 종묘제례악 귀인, 형가, 집녕, 융화, 용광, 정명, 중광, 역성, 분웅, 총수, 혁정, 영관(12곡)의 원형을 찾고, 그 음악이 변천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이 악곡들은 모두 같은 계통의 장단으로 되어 있는데, 장단은 리듬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악곡들의 장단은 만전춘 등과 같은 향악곡의 장단이기도 하며 종묘제례악 중 가장 많은 곡을 차지하고 있다. 이 장단은 향악곡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고요편쌍 장단에 간점을 붙인 것으로서, 고요편쌍 장단의 악곡과 리듬이 서로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그것은 첫째, 정간보에서 이 장단의 원점 위치가 고요편쌍 장단의 원점 위치와 같고, 둘째, 이 악곡들 중 일부는 고요편쌍 장단의 악곡에서 선율을 가져와 만든 것이며, 셋째, 이 장단은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 세 가지 형태가 고요편쌍 장단이 대국1, 2, 3에 나타나는 형태와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귀인류 악곡의 리듬은 고요편쌍 장단으로 되어 있는 대국1, 2, 3의 리듬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귀인류 악곡의 리듬은 대부분 3소박 4박자가 된다. 단, 정명의 리듬은 2소박 4박자가 되는데, 이것은 3소박 4박자가 빨라져서 한 소박 줄어든 것이다. 『대악후보』 이후 한 곡으로 합쳐진 용광과 정명의 리듬은 3소박 4박자에서 2소박 4박자로 빨라지는 리듬이 되는데, 이러한 리듬은 지금도 우리 전통음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종묘제례악 귀인류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세조실록악보』에 실린 귀인류 악곡의 원형은 선율형식이 한문가사의 의미 계층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음악으로서, 가사의 의미전달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한문가사 한 글자는 한 박으로 되어 있고, 가사 한 구는 한 마디로 되어 있으며, 가사 한 행은 한 악구, 한 장단으로 되어 있다. 『대악후보』에 실린 귀인류 악곡에서는 원형의 이러한 음악적인 내용을 대부분 그대로 따르고, 단지 다양하게 나타나는 몇 가지 리듬형만을 단순화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속악원보』인편 귀인류 악곡에서는 악곡에 따라 다른 변화가 나타났고, 그 변화는 모두 가사의 내용과 맞지 않는다. 『속악원보』인편에 나타난 변화는 자연스러운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세조실록』 ~ 『대악후보』의 정간 시가와 리듬
Ⅲ. 원형과 그 변천
Ⅳ.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악보〉
Abstract

저자정보

  • 문숙희 Moon Suk hie.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