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세종실록악보」 여민락의 음악형식과 그 변천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usical forms of SeJongSilRokAkBo 世宗實錄樂譜 Yeomillak 與民樂 and its variations

문숙희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s the musical form of Yeomillak 與民樂 whose verse is Yongbieocheonga 龍飛御天歌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the process of its changes, by analyzing the form of verse, mode, rhythm and cadences. Yeomillak whose verse is of Chinese characters is a music which has a well-structured form with several levels of structures. It has regular 8-beat rhythm and its mode is CheongHwangJongGung PyeongJo 淸黃鐘宮平調. Yeomillak has five parts whose musical form can be expressed as ABCB′ A′. The first part reappears in the fifth part as an expanded form, and the second part reappears in the fourth part with slight changes. Each part is divided into big phrases, each big phrase is divided into phrases, and a phrase is divided into small phrases. These divisions generally correspond to the divisions of verses. A part ends with a full cadence and each of a big phrase, a phrase and a small phrase ends with a semi-cadence. Yeomillak 與民樂 has become contemporary GyeongRokMuGangJiGok 景籙無彊之曲(與民樂慢) through three steps. The five-parts form had been changed into three-parts form later and then it has been recovered to five-parts form. But the regular 8-beat rhythm has been changed into irregular rhythm, and the song lost its verses and became an instrumental music which does not have a well-structured form.

한국어

이 연구는 가사형식과 악조, 리듬, 종지형의 분석을 통해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한문가사로 되어 있는 세종실록악보 ‘여민락’의 형식을 밝히고, 그 형식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과정에 대해서도 살펴본 것이다. 용비어천가 한문가사로 되어 있는 ‘여민락’은 몇 개의 선율계층을 가지고 있는, 형식이 뚜렷한 악곡이다. 8박자의 규칙적인 리듬을 가지고 있고 선법은 청황종궁평조로 되어 있다. ‘여민락’은 크게 5장으로 구분되는데, 그 형식은 ABCB′A′이다. 제1장이 제5장에 확대되어 나타나고, 제2장은 제4장에 조금 변화되어 나타난다. 각 장은 악절로 구분되고 악절은 악구로 구분되고 악구는 소악구로 구분되기도 하는데, 선율의 이 구분은 대체적으로 가사의 내용구분을 따른다. 장은 완전종지형으로 종지하고, 악절악구소악구는 반종지형으로 종지한다. ‘여민락’은 지금까지 세 번의 변화단계를 거쳐 ‘경록무강지곡(여민락만)’에 이르렀다. 5장 형식으로 되어 있던 ‘여민락’의 음악형식은 3장 형식으로 줄었다가 다시 5장 형식으로 복귀된다. 그러나 규칙적인 리듬과 다양한 선율계층을 가지고 있던 성악곡이 리듬이 불규칙하게 변하고 가사도 생략되어 선율계층을 구분하기 어려운 기악곡으로 변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세종실록악보」 ‘여민락’의 음악형식
 Ⅲ. ‘여민락’ 음악형식의 변천
 Ⅳ. 맺는 말
 〈참고문헌〉
 〈부록악보〉
 Abstract

저자정보

  • 문숙희 Moon Suk-hui.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한국음악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