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방 직후(1945.8~1948.7) 남한 전통음악계의 음악사회사

원문정보

The Wor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ts Social History right after the Korean Liberation (August 1945~July 1948)

최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usic represents the society and the history which produce the music. This is tru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this in mind,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ts social history right after the Korean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August 1945. At that time, the Korean people tried to build their own nation-state. Traditional musicians expressed their desire to build the national music. They produced musical works such as ‘Liberation Song’, ‘National-Foundation Song’ and etc. Also, in terms of their musical genre, they formed organizations such as Gukakwon(國樂院) or National Music Center in English composed of folk musicians, and Aakbu(雅樂部) or the Court Music Institute in English composed of court musicians. These activities were geared to construct traditional musicians as the principal agent of national music and to build traditional music as Gukak(國樂) meaning national music in English. Traditional musicians also did various activities to establish their political and social status and to resolve their economic hardship. Traditional musicians lost their economic base during the economic crisis right after the liberation. At the same time, traditional music,regarded as old or behind the times, lost its prestige to the extent that traditional musicians and their music were ousted from public spheres to the private ones. In this situation,traditional musicians did the activities such as broadcasting, performance, research, lecture,and others in order to uplift the social status of traditional music and musicians and overcome their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In line with these activities, they, calling their music as Gukak, tried to construct the identity of traditional music as national music.

한국어

음악은 사회적 측면에서 접근한다면, 사회적 제도와 상황을 표현하고 나아가 사회를 재생산한다고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해방 직후의 전통 음악에서도 나타났다. 해방 직후는 식민제국이 해체된 상황에서 기존의 사회와 음악이 변화되던 시기였다. 이러한 점에서 해방 직후의 음악은 우리의 관심을 끈다. 식민지 해방 후 한국인은 식민시기 통제로 억눌렸던 자신들의 욕망을 분출하면서 민족국가를 건설하고자 했다. 전통음악 종사자들도 ‘해방가, 건국가’ 등의 작품을 통해 민족음악 건설의 열망을 표현했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의 음악 장르에 따라 민속악 단체인 국악원과 아악 단체인 아악부 등을 만들었다. 이 과정 속에서 전통음악인들은 민족음악 주체로서 자신을 재구성하고 민족음악을 건설하고자하였다. 해방 후 전통음악 종사자들은 자신들의 정치․사회적 위상을 확보하고,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고자다양한 활동을 했다. 그들은 해방 직후 식민권력의 해체와 함께 안정적 경제 기반을 상실했다. 그리고새로움이 추구되던 당시 상황에서 전통음악이 낡은 것으로 인식되어 전통음악인들과 그들의 음악은 공적 영역에서 주변화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그들은 방송․공연․강연․연구 등의 활동을 하며 극복하고자 했다. 그들은 자신들의 음악을 대중들에게 대중화하여 전통음악의 위상을 높이고자 했다. 이와 함께 그들은 자신들의 정치․사회적 위상과 자신의 경제적 문제도 타개하고자 했다. 이러한 속에서 전통음악인들은 그들의 음악을 민족음악으로 전통음악의 정체성을 형성하고자 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혜진 Cho , Hye Jin. 전남대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