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해방 이후 역사부도의 변천

고등학교 ‘역사부도’와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고중세 시기 역사지도 검토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Ancient and Medieval Times Historical Maps in the Textbooks of 'Historical Atlas' and 'East Asian History' of High School

임상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contents of historical maps from the prehistoric ages to the period of Goryeo dynasty included in the East Asia history part of 'Historical Atlas' and the textbook of 'East Asian History' which are employed in the high schools at present. In the map of East Asia after 2nd century B. C. E. in the High School Historical Atlas published by Chunjae Education Inc. , the western boundary of Gojoseon is described most widely among whole historical atlases and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for example, the territory of Gojoseon reaches to the east side of Luan River and Hwanghaedo. The High School Historical Atlas published by Kyohaksa always marks Usan-guk in East Sea in all maps from Shang dynasty and Zhou dynasty to Liao dynasty, Jin dynasty, and Mongol. It needs to refer to the record of Samguksagi which mentions Usan-guk capitulated to Isabu of Silla with his trick, had dedicated their products every year, and belonged to Silla after that time. The map of the exchanges of 4th~6th centuries in the High School Historical Atlas published by Kumsung Publishing Company marks China on the part of Jungwon(Zhongyuan) at that time, unlike Han peninsular or Wae(Wa), but it needs to mark the specific name of dynasties or countries. Also, in the case of installation(jarlig), sometimes, in order to hold each other in check, Chinese dynasties installed competitively neighboring states, and even surrounding states had no problem internally when they objected those installations.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remained materials were produced by Tang dynasty with the eyes of China, classifying and ranking neighboring countries only by the economical and political methods such as tribute and installation need to be rethought. It is unusual that the map of migrations from right before and after the Common Era to the 8th century which appears in the High School East Asian History published by Chunjae Education Inc. marks that the group named 'the people of Han peninsular' migrated from the Han River and the Daedong River basins to the regions of Jungwon(Zhongyuan), Yodong(Liaodong), and Japan which is located south. The textbook of the High School East Asian History published by Kohaksa prints East Asian map on the first page of each chapter and put in some major chronological tables classified by regions such as the grassy plain area, the whole area of Jungwon(Zhongyuan), the whole area of Vietnam, the Japanese Islands, and the whole area of Manchuria and Han peninsular. This is positive because the cultures and histories can be understood, not limited to Han peninsular but expanded to the space of East Asia.

한국어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역사부도’의 동아시아사 부분과‘동아시아사’ 교과서에서 선사로부터 고려시대에 이르는 시기의 역사지도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천재교육의 『고등학교 역사부도』의 기원전 2세기 이후의 동아시아 지도에는 고조선의 세력범위가 灤河 동쪽에서 한반도 황해도 지역에 이르는 등, 역사지도와 동아시아사 교과서 중에서 고조선의 서쪽 경계를 가장 넓게 설정하고 있다. 난하로부터 遼河 지역까지의 세력 변천에 대한설명이 필요하다. 교학사의 『고등학교 역사부도』는 商(殷)․周로부터 遼, 金, 그리고 몽골의 지도에 이르기까지 모두 동해에 ‘우산국’을 표시하고 있다. 우산국은512년 新羅 하슬라주의 군주 異斯夫가 계략으로 항복을 받고, 해마다 토산물을 바치게 되었으니, 이때부터 신라에 속하였다는 『三國史記』의 기록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 금성출판사 『고등학교 역사부도』의 <4~6세기의 교류> 지도에는 한반도나 倭와 달리 당시 中原 지역을 ‘中國’이라 하였으나, 해당 왕조나 국가를 구체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唐 시기 대외관계> 지도는 당나라와 주변국의 관계를 조공, 책봉, 교류 관계로 구분한 것인데, 책봉은 중원 왕조가 서로를 견제하기 위해 주변국을 경쟁적으로 하기도하였고, 주변의 모든 국가가 원한다고 하여 받는 것이 아니었다. 심지어책봉을 받는 국가에서 책봉을 받지 않았을 경우에도 내부적으로 어떠한어려움이 있었던 것도 아니었다. 발해의 경우에는 ‘皇帝國’으로서 황제, 황후 등을 칭하였기 때문에, 당으로부터 황제가 아닌 ‘발해왕’ 혹은 ‘渤海 郡王’으로 책봉받는 것은 단지, 당나라와의 원활한 교류를 위한 의례적인 행위일 뿐이었다. 현재 남아있는 자료의 대부분이 唐에 의해, 중국 중심으로 작성된 연유도 있는 것을 함께 고려한다면, 조공과 책봉이라는경제와 정치적 측면으로만 주변국을 분류하고 서열을 짓는 것은 재고의여지가 있다. 천재교육 『고등학교 동아시아사』의 <기원전후~8세기의 인구 이동>에서는 ‘한반도인’이라는 집단이 한강과 대동강 유역에서 중원 지역, 요동 지역, 그리고 남쪽의 일본 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표시한 점이 특이하다. 관련 시기와 지역으로 미루어 이들은 고조선 혹은 樂浪郡 유민과 백제인으로 짐작된다. 교학사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과서는 각 장의 첫 쪽에 동아시아 지역 지도를 싣고, 이곳에 초원 지대, 중원 일대, 베트남 일대, 일본 열도, 그리고 만주․한반도 일대로 구분하고, 이곳의 주요 연표를 싣고 있다. 이것은 문화와 역사를 한반도에 국한하지 않고, 동아시아라는 공간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특히 우리 민족의 역사 무대가 한반도로 국한된 것은 발해가 멸망한 이후인 고려시대부터이므로, 그 이전의한국의 역사, 문화는 한반도와 滿洲(遼河 유역 포함)를 하나의 공간으로접근해야 실상을 파악할 수 있다.

목차

I. 머리말
 II. 역사부도속의 고중세 시기 역사지도
 III.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고중세 시기 역사지도
 IV. 역사지도상의 수정ㆍ보완점 - 맺음말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임상선 Lim Sang Sun. 동북아역사재단 책임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