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Local Identity on Festival Satisfaction and Royalty : Focus on Gangneung Coffee Festival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cal identity on festival satisfaction and loyalty. A survey was conducted on local people visiting the Gangneung Coffee Festival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3, 2016. A total 250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and 227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factors of local identity involved 'local affection', 'local involvement', 'emotional antipathy', and 'local reliabi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identity and visitor characteristics differed by visitor-characteristics. 'Local affection' was influenced only by age, 'local involvement' had an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emotional antipathy'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al attainment and income. The relationship effect of local identity to festival satisfaction and loyalty is as follows. First, festival satisfaction only has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on 'local affection'. Second, the local identity factors ('local affection', 'local involvement', 'emotional antipathy', 'local reliabilit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festival loyal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local festivals were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갖는 지역정체성과 축제참가 후 평가에 대한 영향관계를 규명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2016년 9월30일부터 10월3일까지 강릉커피축제를 방문한 방문객 중 강원도민 250명 중 유효표본 227명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우선 지역정체성에 대한 구성요소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지역애정도’, ‘지역관여도’, ‘정서적 반감’, ‘지역신뢰도’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정체성과 방문객특성(성, 연령, 학력, 소득)과의 관계이다. 지역 애정도는 연령에만 영향을 받고 있으며, 지역 관여도는 학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서적 반감은 학력과 소득에 각각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지역정체성과 만족도간의 영향관계에서는 지역애정도와 깊은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역관여도나 정서적 반감, 지역에대한 신뢰도 등은 축제만족과 아무런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정체성과 충성도이다. 충성도와의 영향관계에서는 지역정체성 구성요소 모두 유의미한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지역정체성(Local identity)과 축제
2. 축제 만족도와 충성도
Ⅲ. 연구 설계 및 방법
1. 연구모형
2. 측정항목의 도출
3. 표본수집 및 자료 분석기법
Ⅳ. 실증분석
1. 표본의 특성
2. 측정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정
3.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