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보과 교육과정에서 컴퓨팅사고력과 연계한 디지털소양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Curriculum Framework Connected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information Education

신수범, 김철, 박남제, 김갑수, 성영훈, 정영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provided digital literacy concept, core area and class achievement connected computational thinking in order to reestablish digital literacy keeping pace with trend change. Main study’s contents analyzed digital literacy concept and changing trend of digital technologies, provided characters of information subject matter education. Implications from these analyses is that necessary digital literacy is to support software education, contents being connected computational thinking and contents being necessary. And we committed Delphi inves- tigation to 16 information education expert on total 67 achievements based on these previous studies. Survey results totally surpassed CVR criterion of digital literacy called information life and then readjusting parts of achievements through panel discussions because of partially being lower than Validity criterion. Finally achievements of Information Life came into existence 5 items for 1st, 2nd of elementary school level(ESL), 13 items for 3rd, 4th of ESL, 23 items for 5th, 6th of ESL, 16 items for middle school Level.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정보과 교육에서 컴퓨팅사고력과 연계한 디지털소양의 개념과 주요 영역 그리고 학년별 성취 목표를 제시해 보았다. 주요 연구 내용으로 디지털소양의 개념 분석, 디지털기술의 변화 트렌드 분석, 주요 조 직의 디지털소양 내용 요약, 정보과 교육의 성격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과 교육에서 필요한 디지털소양은 소프트웨어교육을 지원하는 내용, 컴퓨팅사고력과 연계된 내용, 정보사회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되 어야 하는 점을 시사점으로서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총 67개의 성취목표에 대해 16명의 정보 교육전문가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전체적으로 디지털소양 즉 정보생활의 타당도는 기준점을 모두 상회하였으나 일부 합의도가 기준점을 하회하여 패널 토의를 통해 재조정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생활의 성 취기준은 초등1-2학년이 5개, 초등3-4학년이 13개, 초등5-6학년이 23개, 중학교 16개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디지털 소양 성격과 범위
  2.1 디지털 소양 개념
  2.2 컴퓨팅사고력과 디지털 소양 개념 비교
 3. 디지털 소양 개발을 위한 요인 분석
  3.1 디지털 정보 도구의 변화 트렌드
  3.2 주요 조직의 디지털 소양 내용 반영
  3.3 정보과 교육의 성격[5]
  3.4 정보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소양 설정 방향
 4. 정보과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소양 개발 내용
  4.1 연구절차
  4.2 조사 결과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수범 Soo-Bum Shin. 공주교육대학교
  • 김철 Chul Kim. 광주교육대학교
  • 박남제 Namje Park. 제주대학교
  • 김갑수 Kap-Su Kim. 서울교육대학교
  • 성영훈 Young-Hoon Sung. 진주교육대학교
  • 정영식 Young-Sik Jeong. 전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