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박태원의『갑오농민전쟁』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Kaponongminjeonjaeng』by Park Tae-won

임금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intended to study aspects of accepting the thought of Donghak on『Kaponongminjeonjaeng(甲午農民戰爭)』by Park Tae-won. 『Kaponongminjeonjaeng』had published 1989 after removal of the publishing ban on works of writers to go North Korea over the 38th parallel. It seems that the work was reflected social thinking and social reformation in the Donghak Revolution. There are many characters in it. First of all, Suwoon Choi Je-woo was represented the founder of Donghak religious on Podeokcheonha(布德天下) and Kwangjechangsang (廣濟蒼生). To add to Haewol Choi Si-hyung was slightly described his consciousness with removal of the religious persecution and exoneration of the founder. Jeon Bong-jun who was expressed an practical intellectual wa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 in this novel. The writer depicted him as a teacher, an anti- imperialist, a performer on Bogukanmin(輔國 安民) and Cheokwoecheokyang(斥倭斥洋) and an acknowledger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So, he is the center of characters as three types like the performer of Donghak thought, a teacher of social status in Seodang(書堂) and an actualist through realistic conditions. Besides, Oh Ji-young was represented a compromiser Namjeop(南接) between Bukjeop( 北接) in『Kaponongminjeonjaeng(甲午農民戰爭)』. It seems that Park Tae-won profoundly wrote Jeon Bong-jun who is not religious leader, but the realistic pioneer. It was under the system of socialism that the writer had been written in North Korea which has social nationalism.

한국어

박태원의『갑오농민전쟁』은 동학민족의식을 사회사상과 사회개혁 운동으로 보여준 소설이라 여겨진다. 수운 최제우는 동학의 1대 종교 창시자로 포덕천하와 광제창생의 창도자로 그려지고 있다. 그리고 2대 교주 최시형은 금령 해제와 교조 신원운동을 중심으로 그려지고 있으나 비중은 약하다. 전봉준은 척왜척양 보국안민을 실천하는 지식인으로 상당히 비중 있게 그려지고 있다. 교육자로서 전봉준, 반제국주의자로서 전봉준, 보국안민과 척왜척양 실천가로서 전봉준, 국제정세 인식자로서 전봉 준으로 나오고 있다. 동학사상을 실천하는 자로 나오는 전봉준과 서 당훈장의 신분을 가진 전봉준과 현실을 꿰뚫어보는 현실주의자로 그 려지는 전봉준의 모습도 볼 수 있다. 중도파 오지영의 경우 남북접의 화해 역할을 펼친 자로 그리고 있다. 박태원의『갑오농민전쟁』은 100년 전 민족이 위기의 상황일 때 제 국주의 앞에 무기력한 조선의 현실을 바라보면서 타개에 나선 실천적 지도자를 비중있게 다루었다. 농민군 역시 동학군이라는 누명을 쓰면 서 전봉준의 실천적 행보에 함께 발을 맞춘다. 나라의 보존을 위해 집 단 봉기로 저항했으며, 특히 관헌들의 폐해가 심했던 전라도 지역 농 민을 중심으로 일체된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종교적 현실은 배제시킨 채 동학의 사회사상을 부각시켜 사회사상 과 사회개혁운동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사회주의 국가의 현실에서 창작된 예술작품에서 작가의식이 주인공 의식에 그대로 투영되어 사회주의 이데올로기 부 각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종교성의 부정성, 나약한 지도자성을 지적하고 있다. 반면 전봉준은 최후의 법정에서마저 당당한 반제국주의자로서 국제정세를 인식한 자 로 형상화하고 있어 북한의 사회적 민족의식에 가장 높은 비중을 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갑오농민전쟁』에 수용된 동학의 정신사
  1. 종교적 지도자들의 사회사상
  2. 실천적 지도자들의 사회개혁운동
 Ⅲ.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금복 Lim, Keum-bok. 성신여대 국문과 강사 및 성신여대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