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월신사법설」에 나타난 중국 인물 연구

원문정보

Study of Famous Chinese within the 『Haeweolshinsa Bupseol』

임금복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24호 2012.04 pp.37-6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intended to study well known Chinese within the 「Haeweolshinsa Bupseol」. There are four kinds of being quoted famous Chinese in the book. Those people were wonderful or worst special people in old China. Firstly, there are Samhwang and Cheonhwang who can conciliate in 「Haewolshinsa Bupseol」. They were represented Samhwang in “OdojiSamhwang”, Cheonhwang in “Gaebyeokunsu”, “Myeonsimsudeok” and “Gita”. Secondly, there are some characters as saints of Yao and Shun were the virtuous rules with Confucius and Mencius, and king Mun of the Chou dynasty in China. They were quoted Yao and Shun in “Seonginjideokhwa”, people as stated above except king Mun in “Gaebyeokunsu”, “Gita”, “Dokgong”, and “Kangseo”. King Mun and Confucius in “Naechick” were described saints who were shared their wisdom and influenced their virtues, too. Thirdly, there are Chiang Tai-kung and Chuke Liang who were opened their minds through the world. They could open others like how they’ve opened their minds in “Dokgong”. Finally, there are Docheok and Hanmujae who were described mending their doings after that them improving personality. Hanmujae in “Shimryeongjiryeong”, Docheok in “Buhwabusun” through these characters Haeweol wanted to show whoever can change being good. In conclusion, Haeweol expressed various characters of people in China as different levels of enlightenment in his work. There are conciliating saints, the great people live as a saint, the good people who were opened minds and some people who can change their personality though not good before. So Haeweol represented different steps of enlightenment and showed a deep positive thinking even though negative characters. So it seems him to be emphasized who has a boundless positive possibility through human beings.

한국어

이 논문에서는 해월 최시형의 「해월신사법설」에 중국 인물이 어떻게 차용되고 있는지 통섭적 성인, 성인적 경지의 인물, 마음을 연 인물, 변화 가능성이 내재된 개과천선형 비유의 인물 등 네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통섭적 성인은 삼황씨와 천황씨라는 표현으로 등장하고 있다. 삼황씨는 <오도지삼황>에, 천황씨는 <개벽운수>와 <명심수덕>, <기타>에서 쓰이고 있다. 둘째, 성인적 경지의 인물은 요순, 요순공맹, 맹자, 주문왕과 공자 등의 표현으로 나오고 있다. 요순은 <성인지덕화>에, 요순공맹과 맹자는 <개벽운수>와 <기타>, <독공>과 <강서>에, 주문왕과 공자는 <내칙>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셋째, 마음을 연 인물은 강태공과 제갈량을 <독공>에서 보여주고 있다. 넷째, 변화 가능성이 내재된 개과천선형 비유의 인물은 한무제와 도척이 등장하고 있다. 한무제는 <심령지령>에, 도척은 <부화부순>에서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해월은 중국 인물에 대한 사유의 태도를 통해서 도통의 단계를 네 단계로 나누워 드러내고 있다. 통섭적 성인의 단계, 성인적 경지의 인물, 마음을 연 인물, 변화 가능성이 내재된 개과천선형 비유의 인물로 독특하게 드러내고 있다. 특히 부정적 인물군에게 마저 변화의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었다. 이를 통해 해월은 중국 인물에 대한 사유를 통해서도 인간에 대한 무한의 긍정적 태도를 가졌음을 알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통섭적 성인- 삼황씨(천황씨)
  1) <오도지삼황>의 삼황씨
  2) <개벽운수>와 <명심수덕>, <기타> 속의 천황씨
 3. 성인적 경지의 인물-요순공맹(요순, 공맹, 공자, 맹자)과 주문왕
  1) <성인지덕화>의 요순
  2) <개벽운수>, <기타>와 <독공> 속의 요순공맹
  3) <강서> 속의 맹자
  4) <내칙> 속의 주문왕과 공자
 4. 마음을 연 인물-강태공과 제갈량
 5. 변화 가능성이 내재된 개과천선형 비유의 인물-한무제와 도척
  1) <심령지령> 속의 한무제
  2) <부화부순> 속의 도척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금복 Kuembok Lim. 성신여자대학교 국제문화교육원 한국어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