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Kyohunka is an old poem written by Choe, Suun. In this article, the poem will b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therapy. It embraces the life of a poet. The poet experienced that he could not do anything he had learned since his childhood. He realized all was vanity at that time. But the poet found his motivation at the age of forty. He changed his name for the people and prayed in the Kumi mountain. At last, he could listen to the world of god. God gave him special commitment to proclaim the virtue for the world. The behavior of the poet was changed after his religious experience. The poet began to teach for those who were coming to his house and a lot of people gathered around him. But there were a few people who were telling a lie. The rumor spreaded out of his hometown. He was fulfilled with his anxiety because of the rumor. He travelled around the country in order to overcome his anxiety. Nevertheless, the poet taught his disciples through the educational motivation. In conclusion, Kyohunka seems to be a psychotherapeutic work for those who have no motivation in the world.
한국어
본고는 종교체험이나 신앙과 관계된 심리적 특정 주제에 한정시키기보다는 작품에 대한 시적 화자 자신의 서사적 심리치료적 읽기를 시도한다. 인간은 심리적 갈등을 경험한다. 인간의 갈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심리치료가 요구된다. 시적 화자는 먼저 출생의 숭고한 의미를 우주적 차원에서 제시했다. 그는 자신을 부성애로 가르쳤던 어린 시절을 기억하며 제자들을 지도하였다. 그러나 그는 양반사회의 신분차별과 같은 심리적 외상과 함께 욕구좌절의 청년기를 거치면서 소업과 관계없는 교육은 현실의 벽에 부딪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이미 경험했다. 소업성공을 기대하고 집을 나섰지만,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시적 화자는 불혹의 나이에 개명작업을 통해 좌절된 성취동기를 표출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가 나아가야 할 목표가 재설정되었다. 비록 의식주와 관련된 경제 문제가 그의 길에 걸림돌이 되기는 했지만 그는 마침내 수신제가를 거쳐 득도의 경지에 이른다. 경청은 신과 인간 사이에 대화를 이끌어가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신언에 대한 경청을 통해 시적 화자는 자기 존재를 자각한다. 그는 심중에 잠재된 의구심을 떨치고 자존감을 회복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행동은 개명작업과 함께 포덕천하의 신탁으로 변화되어 자신이 할 수 있는 직종을 찾는 전환점이 되었다. 그의 직종은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글을 지어 교육하는 일이었다. 교육은 어느 정도 성과를 보였으나 인간관계의 위기를 만났다. 육친이 원수가 되는 상황에서 불안은 증폭되었고 불안해소의 방편으로 여행이 선택되었다. 그러나 서신을 통한 원거리 통신교육은 신이 내린 직종을 끝까지 완수하려는 동기의 결과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교훈가>는 최 수운의 동기와 욕구좌절, 그리고 신언 경청과 교육을 통해 인간의 심리적 갈등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는 작품으로 이해된다.
목차
1. 서론
2. 출생과 성장
3. 개명
4. 경청
5. 교육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