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중 및 동아시아 인문학

현대중국어 보어‘到’의 주관성

원문정보

The Subjectivity of V-dao in Mandarin Chinese

차예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omplement construction of V-dao is frequently used in mandarin Chinese. In this article, V-dao is explained by the subjectivity and subjectification, especially in the concept of Langacker(2002) and Traugott(2002). The semantic function of V-dao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by sub-event structure. Some of V-dao have two sub-events, but some of V-dao is unable to be separated into two sub-events. In this article, The former of Dao is called Dao1, the latter of Dao is called Dao2. Dao1 describes a moment of physical movement in space through the predicate verb V that is a of movement. In this sentence, the speaker describes the movement of object at the ‘off-stage’. Thus, the construction of Dao1 the ‘objective’. However Dao2 cannot be regarded as the ‘objective’, and does not describes a moment of physical movement. The semantic function of Dao2 is more ‘related with speaker’ than Dao1. While the construction of Dao1 describes the movement of object, the construction of Dao2 describes the ‘achievement’ of situation. In this case, ‘achievement’ means the subjective opinion from the speaker’s judgment about the situation. Thus, the construction of Dao2 is more ‘subjectivity’ than the construction of Dao1.

한국어

현대중국어에 빈번하게 사용하는 ‘V到’구조의 그 의미기능에 대하여 본고는 Langacker (2002)와 Traugott(2002)의 주관성(subjectivity)과 주관화(subjectification) 개념을 도입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V到’구조의 의미기능을 하위사건구조에 의거하여 크게 두 가지로 나누었다. 하나는 ‘V到’구조가 두 개의 하위사건으로 나누어지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V到’구조가 두 개의 하위사건으로 나누어 질 수 없는 경우이다. 본고에서는 전자의 보어‘到’ 를 ‘到1’로, 후자의 보어‘到’를 ‘到2’로 지칭하였다. ‘到1’는 대상이 술어동사V이라는 <방식(manner)>을 통해 공간에서 물리적으로 이동한 순간을 나타내며, 이러한 표현은 화자가 ‘무대 밖(off-stage)’에서 관찰 대상의 이동을 묘사한 것이다. 이에 ‘到1’구문은 해당상황에 대하여 객관적인 해석으로 이루어져있다. 반면 ‘到2’는 ‘到1’와 같이 물리적 이동 순간에 대한 객관적 해석이 아니다. 오히려 ‘到2’는 그 의미기능이 문장을 발화하는 ‘화자에 연관(speakerrelated)’ 되어 있다. ‘到1’의 표현이 관찰 대상이 이동하는 상황을 객관적으로 묘사했다면, ‘到2’ 는 화자 자신의 판단에 따른 주관적 의견 즉 해당 상황이 ‘성취(achievement)’됨을 표현한다. 따라서 ‘到2’의 표현은 ‘到1’의 표현보다 ‘주관화’되어있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주관성과 주관화 개념
  1) Langacker(2002)와 Traugott(2002)의 개념 정리
  2) ‘주관화’된 표현에 대한 정리
 3. ‘V到’구조 분류
  1) ‘V到’구조 분류에 대한 기존 연구
  2) RVC인 ‘到’와 PVC인 ‘到’
 4. 보어‘到’의 주관성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차예슬 Cha, Ye-Seul.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