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직준비자를 대상으로 한 전직준비도 프로그램의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Career Transition Readiness Program on the Career Transition Readiness

이수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structure of employment market are rapidly changing due to corporate ordinary restructuring, low birth rates and population ageing, people who have failed to prepare for retirement because of restructuring will suffer continuous economic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On the other hand, many workers do not make effort to prepare for the career tran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career transition readiness program on the career transition readiness. This researcher as co-leader conducted the first pilot study consisted of total 8 session(120 minutes per session) prior to this study. The front of program was conducted by intimacy among group members, self-opening, stress management and the latter half of program was made up harmony of cognitive, emotion, behavior. The first study contributed to restored confidence, positive promotion, self-efficacy, activities in the relationship and it could grasp through the study about needs of additional session concerned about the job information searching skills and concentration progression of a short period considering of the job seeker’s characteristics. The second study was conducted by the researcher as the only leader in total 10 sessions for 120 minutes, the study subjects was conducted in this study with a similar configuration and reaffirmed that the short-term of 120 minutes and intensive progress in case of job seeker. This career transition readiness program was conducted in configurations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job seekers for career transition according to th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is program was conducted for two weeks every day, every time 120 minutes a total of 10 times and the career transition readiness test was conducted pretest, posttest and following test after 4 weeks the program end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The results were collected in the full score through the career transition readiness test and the 15 sub-factors. The SPSS for windows 12.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for the hypothetical verification was set at .05. In the result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results of research and hypotheses, it looks reasonable to lead the conclusion that it makes sense to accept the hypothesis 1, 2 because this proved the career transition readiness program for career transition readiness of the job seeker was effective on the total and subregion of the career transition readiness. This study is necessary for further discussion because there is no comparison groups including the control group.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for placing a comparison group such as a control group to increase the validity of studies. Al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f research by selecting a broad range of research subjec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전직준비자를 대상으로 한 전직준비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본 연구 실시 전, 첫 예비연구는 120분, 총 8회기로 구성하여 본 연구자가 코리더로서 진행하였으며, 집단 구성원간의 친밀감 형성, 자기 개방 및 스트레스 관리로, 이후의 회기는 인지, 정서, 행동의 조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1차 예비 연구를 통하여 관계 속에서 자신감 회복, 긍정성, 자기효능감, 적극적 행동 향상에 기여하였으며, 구직자라는 특성상 구직스킬 관련 회기 추가의 필요성, 단기간의 집중 진행이 효과적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2차 예비연구는 120분, 총 10회기로 본 연구자가 단독 리더로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와 유사한 구성으로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성인이라는 대상의 특성상 회기별 120분이라는 시간의 효과성, 구직자라는 특성상 단기간의 집중 진행이 효과적임을 재확인하였다. 전직준비도 프로그램은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서 밝힌 근거를 바탕으로 전직준비자의 특성에 맞게 본 연구자가 구성하였다. 전직준비자를 대상으로 한 전직준비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2주 동안 매일, 매회기 2시간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하였고, 전직준비도 검사는 1회기 실시 전・직후, 종료 4주 후에 시행되었다. 검사에서 얻은 전체 점수와 15개 하위요소 점수를 토대로 자료 처리하여 결과를 얻었다. 자료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 수준으로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연구 가설과 관련하여 논의한 결과, 전직준비자를 대상으로 한 전직준비도 프로그램은 전직준비도의 전체와 하위영역에 대해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음으로 연구가설1, 연구가설2를 수용하여 결론으로 이끄는 것은 타당하다고 본다. 또한 본 연구는 비교집단이 없으므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통제집단 등의 비교 집단을 두며, 집단 구성 시 집단 간 최대 동질성 확보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전직준비도
  2.2 전직준비도 프로그램
  2.3 전직준비도 프로그램의 효과
 Ⅲ. 연구방법
  3.1 연구 대상
  3.2 연구 도구
  3.3 연구절차
  3.4 자료처리
 Ⅳ. 연구 결과
  4.1 종속변인별 평균과 표준편차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이수경 경기대학교 직업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