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tial factors upon middle aged and elderly job seeker’s employment and then present political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activation of middle aged and elderly’s employment. For this, data of middle aged and elderly job seeker’s in 50-85 years of age who experienced job referral service from public institutes was collected from Worknet.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tial factors upon middle aged and elderly job seeker’s employmen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binary logit analysis were carried out.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residence, education level, whether within or without vulnerable social group and factors of job hunting activity, such as preferred region, match of region, goal of job-seeking registration, wage expectation, institute of job-seeking registration were used for independent variabl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demographic features of the influential factors upon middle aged and elderly job seeker’s employment were gender, age, residence, education level and whether belong to vulnerable social group. Factors of job hunting activity which have significant effect were goal of job-seeking registration, wage expectation, institute of job-seeking registration. Unlike preceding research,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and permanent position was higher for middle aged and elderly job seeker’s who were female than male. Education level of under middle school makes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higher. There were different effects of institute of job-seeking registration on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and permanent position. Based on study findings, political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activation of middle aged and elderly job seeker’s employment are presented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practical needs of companies and job seekers through cooperation with related public institutes and networking with local companies. Based on that, it is necessary to offer the service including training, counseling and job referral service to middle aged and elderly job seekers so that they can use their experience and competenc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공공 고용서비스를 통해 취업알선을 받은 50세 이상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취업자의 고용형태 결정요인을 함께 규명함으로써, 중‧고령자의 취업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및 실천적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2015년 워크넷데이터 중 공공 취업알선서비스를 경험한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요인(성별, 연령, 거주지, 최종학력, 취약계층 여부)과 구직활동 요인(희망지역, 거주지‧희망근무지역일치 여부, 희망임금, 구직등록목적, 구직등록기관)을 중심으로 중․고령자의 취업여부, 고용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통계학적 요인에서는 성별, 연령, 거주지, 최종학력, 취약계층 여부가 취업여부 및 고용형태에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활동 요인에서는 구직등록목적, 희망임금, 구직등록기관이 취업여부 및 고용형태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와 달리 중·고령 구직자 남성의취업 및 정규직 가능성이 여성보다 낮게 나타났다. 최종학력이 중학교 이하일 때 취업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직등록기관별 취업가능성 및 정규직 가능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공공고용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중‧고령자 일자리 중 학력을 요구하지 않는 단순노무직일자리 비율이 높으며, 기관별 구인자 및 구직자의 특성(구직등록목적 등), 알선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짐작할수 있었다. 중·고령 구직자를 대상으로 공공 고용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담당자는 지역과의 네트워크 형성 및인사담당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괜찮은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발굴·연계하고 유관기관과 면밀한 협조체계를 이루어 중·고령 구직자와 구인자의 현황자료 및 수요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교육훈련, 상담, 취업알선 서비스를 제공하여 중‧고령자들이 자신의 경험, 전문성 등을 활용하여 일할 수 있도록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목적
2.1 공공고용서비스 취업알선
2.2 중․고령자 특성 및 취업 현황
2.3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선행연구 분석
2.4 연구문제
Ⅲ. 연구설계
3.1 표본선정
3.2 분석방법
3.3 변수의 구성
Ⅳ. 분석결과
4.1 기술통계
4.2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한계
5.1 연구 결과 및 이론적 시사점
5.2 기업경영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
5.3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