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禮)의 객관성의 원천 -『순자(荀子)』의 분류(類)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Source of the Objectivity of the Ritual - Focusing on the Idea of Categorization in the Xunzi

양순자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77집 2016.12 pp.203-22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Zhungzi criticized Confucian ethics based on the Heav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eavenly Way, Confucianism and Mohism have equal values, and cannot claim superiority over their counterpart. Xunzi accepted his criticism and broke the connection between the Heaven and Confucian ethics. Xunzi also did not suppose ethics on the basis of human nature in considering human nature is bad. Xunzi shifted his focus on an essential aspect of the ritual in order to justify the objectivity of Confucian ethics, that is, a categorical aspect of the ritual. In his theory, the ritual is defined as the collection of categories of things.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the ritual is to divide, which is accomplished by human action of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 chapter "Rectifying Names," naming is based on categorization and the action of categorization has two traits, natural and conventional. We categorize things with the help of our cognition, which is separate from our capacity for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do so out of convention. The naturalness of categorization ensures the objectivity of norms. Our categorization from convention changes because of the influence of society and culture, and differs in individuals and cultures. Xunzi revealed the idea of value pluralism in his concept of a 'guiding principle'. He held that if we put categorization to the extreme, we will realize the guiding principle for dealing with affairs. We are able to know it only by practicing the institutions and laws of our former kings. That is, we will know the guiding principle only by learning and practicing the carefully selected experience of former generations. It is the wisdom we can acquire by learning historical experience and objectifying them. Therefore, the guiding principle does not have an absolute foundation. In addition, the ritual, which is another name for the guiding principle, cannot be regarded as absolute and universal, but has the commonality and stability as long as it is related to human experience.

한국어

장자는 천에 의한 유가 윤리의 정당화를 비판한다. 천도(天道)에 비추어보면 유가나 묵가 모두 동일한 가치를 지니며, 어느 입장이 우월하다거나 시비를 가릴 수 없다. 순자는 장자의 비판을 받아들여 천과 유가 윤리와의 고리를 끊어낸다. 또한 그는 인간 본성(性)에서 도덕의 객관성을 찾으려는 맹자를 비판한다. 순자는 인간 본성은 악하다고 봄으로써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성에 근거한 도덕을 상정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순자는 유가 윤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예의 본질적인 속성에 눈을 돌린다. 이 때 순자가 주목하게 되는 것이 예의 분류(類)적 속성이다. 순자의 사유에서 예는 기본적으로 외부 대상에 대한 분류의 집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예의 가장 큰 기능은 나눔(分)이며 나눔은 인간의 분류라는 행위에 의해 이루어진다. 「정명(正名)」을 통해 드러난 이름부여는 분류에 근거하며, 분류는 자연성과 규약성을 지닌다. 분류의 행위는 언어에 독립적인 인간의 인지 능력에 기반하는 측면이 있으며, 동시에 규약적인 측면까지 포괄하는 증층적인 측면을 가진다. 인간의 유사한 경험의 구조에 기반한 분류의 자연성은 어느 정도의 객관성을 우리에게 보장해준다. 그러나 규약에 기반한 분류는 사회, 문화적 과정을 거치면서 변이를 하게 되며, 개인마다 문화권마다 달라질 수밖에 없고 다양성을 띨 수밖에 없다. 가치 다원주의적인 사고는 순자의 ‘통류(統類)’라는 개념에서 보인다. 순자는 우리가 류적 사고를 극대화하면 ‘통류’를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일을 처리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통류라는 것은 선왕의 제도(制)와 법(法)을 익힘으로써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통류’라는 것은 이전 세대의 정선(精選)된 경험의 집적물을 학습하고 실천함으로써 깨닫게 되는 것이다. 통류라는 것은 이전 세대의 역사적 경험을 학습하고, 그 경험을 대상화해서 바라볼 수 있게 되는 지혜이다. 따라서 통류라는 것은 절대적으로 객관적인 근거를 가지지 않는다. 또한 ‘통류’의 다른 이름인 ‘예’ 또한 절대적이며 보편적이라고 할 수 없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며
 2. 기존 도덕의 객관성에 대한 순자의 비판
 3. 분류(類)의 중층적 측면: 자연성과 규약성
 4. 통류(統類)로서의 예(禮)
 5. 나가며
 참고문헌
 요약문

저자정보

  • 양순자 YANG, Soon-ja. 전남대학교 철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