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ob tasks and career characteristics of nursing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which index subjects are newly suggested as a follow-up process in the 2015-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heir job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a survey on job performance was conducted for the entire nursing teachers (197) recently working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otal 14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141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s test and t/F tests were performed through SPSS Win 14 program. First, the research findings were analyzed by the three following categorie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nursing teachers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choo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The nursing teachers were regular teachers in terms of qualification with high proportions of working years in industries and temporary positions. It was also found that they conducted total 19.19 hours of teaching guide of extra curriculum per week. Second, the nursing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generally perceived the performance frequency for 24 job tasks in 6 job domains as ‘more than moderate’ (3.70 on average). The importance of job task was noticeably high: over 4.34 on average.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 domain of teaching guide with the utmost level. Third, the result from comparing the differences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demonstrated that schoo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the frequency of job performance increased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levels, the positions as a head/class teacher, and the numbers of subjects in charge. The importance was mainly perceived as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ir characteristics at similar degrees. The level of difficulties were found to be affected by their career years, educational levels, majors, working types, the number of subjects in charge.
한국어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후속 조치로 표시과목 신설을 제안한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사의 직무 및 경력특성을 파악하여 직무수행 실태를 분석하고, 이 교육 분야의 질 제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국의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에 재직 중인 전체 교사(197명)를 대상으로 직무수행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144부를 회수하였다. 최종 분석에는 141부가 활용되었으며, SPSS Win 1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방법, t/F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사들은 자격상 상치교사이며 산업체 근무경력자와 기간제교사 비율이 높았고 수업과 교과외 학습지도를 주당 총 19.19시간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사는 6개 직무영역 24개 직무에 대한 수행빈도를 전체 보통이상(평균 3.70)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직무에 대한 중요도는 평균 4.34점 이상으로 매우 높았으며, 교수학습지도 영역의 중요도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간호과 교사들은 산학 및 대외협력, 교육과정개발 및 운영 영역에서 다소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특성, 학교근무특성, 업무특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 결과, 직무수행빈도는 경력기간, 학력, 보직/담임유무, 담당과목수/시간에 따라 높아졌으며, 중요도는 특성에 관계없이 대체적으로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곤란도는 경력기간, 학력, 전공, 근무형태, 담당과목수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용어의 정의와 범위
Ⅱ. 이론적 배경
1.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운영과 교사 현황
2. 중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할 및 직무수행 관련 선행 연구
Ⅱ. 연구방법
1. 연구 절차와 방법
2. 조사도구
3. 자료수집
Ⅲ. 연구결과
1.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사의 일반적 특성
2.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사의 직무수행빈도, 중요도 및 곤란도인식
3.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사의 특성변인에 따른 직무수행 및 인식차이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