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무용 교육 구성 영역의 미학적 개념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Aesthetic Concepts of Domain in Dance Education

황인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purposed to analyze the aesthetic concepts of domains in dance education and discuss their implications in order to enhance expertise and organization of dance education. Based on the aim of dance eduction to cultivate the capacities of danc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domains in dance education are classified into appreciating, creating and performing. Considering that appreciating requires proper knowledg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s in dance, it may be necessary that the ability to appreciate dance works needs to be cultivated through the learning stages, conditioned on the student level. In the creating activity, the emphasis should be on the created products rather than on the creating process. Performing in dance education does not intend only for better dance understanding. Performing needs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a dancer’s roles and function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dance work to be convincingly delivered to the audience. Finally, to promote autonomy and creativity in student dance activities, an ideal approach is that the dance teacher guides students in the creating of a dance, and intervenes as little as possible. However the teacher-directed approach may be used as an alternative, in which the dance teacher gives the direction to make a dance. When students are encouraged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ose directions imaginatively, and translate their understanding into their movements, the teacher-directed approach may have education value as well.

한국어

본 연구는 학교 무용 교육의 전문성 및 체계성 제고를 위해 무용 교육의 활동 영역을 중심으로 각 영역별 개념 및 교육적 시사점을 분석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무용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 함양이라는 무용 교육 목표에 따라 무용 교육의 구성 역역을 감상, 창작, 그리고 공연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 미학적 개념 및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무용 교육에서 감상, 창작 및 공연 활동이 무용 교육 목표를 원활하게 달성하기 위해서는 예술 형식으로서 무용이 갖는 특성이 정확히 이해되어야 한다. 감상은 상당한 무용 지식 및 경험 등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감상은 무용 작품에 학생들이 익숙해지는 초기 단계에서부터 출발하여 점차 관련 지식과 경험이 쌓이면서 미적 특성의 인식 능력, 해석 능력, 비평 능력이 단계별로 개발되는 단계별 학습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창작에서는 과정보다는 산물에 중점을 두고 학생들의 창작 역량 수준에 맞추어 무용 표현 및 작품 완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공연은 단순히 춤추기를 통한 무용 이해 제고를 위한 교육 활동만이 아니라는 점에서 완성된 무용 표현 및 작품이 설득력 있게 관객에게 전달되는 데 필요한 무용수의 역할, 기능과 관련해서 공연 활동이 개념적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학생의 자율성 및 창의성을 촉진하는 측면에서 보면 무용 교육 창작 활동은 무용 교사 인도 아래 학생 주도로 진행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무용 교육 환경의 현실적 어려움을 감안할 때, 무용교사의 지시 아래 창작 활동이 수행되는 접근법도 고려될 수 있다.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상상력을 발휘하여 무용교사의 지시를 이해하고 이를 창의적 움직임 표현 및 작품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무용 교사가 장려한다면 교사 주도의 창작 활동도 무용 교육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I. 서론
 III. 무용 교육 구성 역역의 미학적 개념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황인주 Hwang, In-joo. 신라대학교무용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