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 중심 융합교육(STEAM)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원문정보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convergence education(STEAM) based on technology

김민웅, 김태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echnology (STEAM), using the meta-analysis. Thus, the literature reviews of 3 times have been conducted with the keywords of 'technology', 'practical arts', 'convergence education', 'STEAM', and 'T-STEAM' based on RISS,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Google Scholar service and as a result, a total of 30 papers, including 16 dissertations and 14 articles in journals were finally selected. the results of meta-analysis with random effects model show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of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echnology was .628.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in effect in accordance with categorical variabl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echnology is found to have the largest effect size targeting the female students. Secondly, the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echnology is found to have a larger effect size in primary education than in secondary education. Thirdly, the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echnology is found to have a larger effect size in non-curriculum classes rather than in curriculum classes. Fourthly, the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echnology is found to have a larger effect size in developing the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STEAM model than in developing the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pedagogy model. Fifthly, in case the effect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echnology is classified into 4C of core competence(Creativity, Communication, Convergence, and Consideration) of which the largest effect size is shown in the area of creativity.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the duration of treatment, which is a continuous variables, showed that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the duration of treatm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ffect size.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기술 중심의 융합교육(STEAM) 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기술’, ‘실과’, ‘융합인재교육’, 'STEAM', 'T-STEAM'을 키워드로 하여 RISS, 국회도서관, Google Scholar 서비스를 토대로 3차에 걸친 문헌고찰을 실시하 였고, 그 결과 학위논문 16편, 학술지 논문 14편 총 30편이 최종 선정되었다. 랜덤효과 모 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술 중심 융합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628로 나타났으 며, 이를 비중복 백분위 지수(U3)로 변환하면 약 73퍼센타일이다. 이는 일반적인 교육을 받은 통제집단의 평균이 50%라고 가정했을 때, 기술 중심 융합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평균은 약 73%가 되어 평균값이 23% 상승함을 의미한다. 범주형 변인에 따른 효과차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 중심 융합교육은 여학생을 대상으로 할 때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기술 중심 융합교육은 중등교육에 비해 초등교육에서 더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셋째, 기술 중심 융합교육은 교과 시간에 실시할 때보다 비교과 시간 에 실시할 때 더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넷째, 기술 중심 융합교육은 STEAM모형을 기 반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을 때보다 교육학 모형을 기반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 을 때 더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다섯째, 기술 중심 융합교육의 효과를 핵심역량 4C(창 의, 소통, 융합, 배려)로 구분하였을 경우 창의 영역이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연 속형 변인, 즉, 참여 인원과 처지 기간에 따른 효과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 인원과 처치 기간은 효과크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서론
  2.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융합교육
  2. 메타분석
 Ⅲ. 연구 방법
  1. 자료수집
  2. 효과크기
  3. 도구
 Ⅳ. 연구 결과
  1. 기술 중심 융합교육의 전체 효과크기
  2. 범주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
  3. 연속형 변인에 따른 효과 차이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민웅 Minwoong Kim. 충남대학교
  • 김태훈 Taehoon Kim. 충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