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stress response among elementary teachers :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raumatic experience by the elementary teacher’s violence victimization affected the stress response related to the mental health,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during that process. For thi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100 elementary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sking whether having the traumatic experience by the teacher’s violence victimization, stress response such as the depression, anger, anxiety, and somatization, and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e teacher group having the violence victimization traumatic experience underwent the stress such as the more serious depression, anger, and somatization than the teacher group not having the traumatic experience by the violence victimization. Second, it was revealed it had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acceptance and rumination between the violence victimization traumatic experience and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Third, while the adaptive regulation strategy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with the somatization in the relationship of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stress response, the maladaptive regulation strategy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to the stress response such as the depression, anxiety, anger, and somatization.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cceptance and rumination among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s which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of the traumatic experience of elementary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violence victimization and the stress response, the acceptance partially mediated the traumatic experience by the violence victimization and the somatization, and the rumination entir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of the traumatic experience by the violence victimization and anger, and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omatiz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necessity of the follow-up study were presented based on these result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의 폭력피해로 인한 외상경험이 정신건강과 관련한 스트레스 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교사의 폭력피해로 인한 외상경험, 우울, 분노, 불안, 신체화 등의 스트레스반응, 인지적 정서조절 능력을 묻는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피해 외상경험을 가지고 있는 교사집단이 폭력피해로 인한 외상경험을 가지고 있지 않은 교사집단보다 더 심한 우울, 분노 및 신체화와 같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폭력피해 외상경험과 인지적 정서조절 중 수용 및 반추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폭력피해 외상이 심한 초등교사일수록 수용이라는 적응적 조절전략을 사용하여 환경에 적응해 나가고 있는 반면, 반추라는 부적응적 조절전략을 사용함으로써 현재 생활에 부적응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인지적 정서조절과 스트레스 반응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조절전략은 신체화와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부적응적 조절전략은 우울, 불안, 분노, 신체화 등 스트레스반응 모두에 정적상관을 보였다. 넷째, 폭력피해를 경험한 초등교사의 외상경험과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인 인지적 정서조절 중 수용과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본 결과 수용은 폭력피해로 인한 외상경험과 신체화를 부분매개하였고, 반추는 폭력피해로 인한 외상경험과 분노와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를 그리고 신체화와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를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목차
연구 방법
연구대상
연구도구
연구모형
자료분석
연구 결과
폭력 피해 경험집단과 무경험 집단의 스트레스반응 차이 분석
폭력피해 외상경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스트레스 반응간의 상관분석
폭력피해 외상경험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