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the Self-Regulated Empathy Group Counseling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gression and Empathic Ability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lf-regulated empathy education program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gression and empathic ability. Two sixth-grade classes from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 city, Jeonbuk provinc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For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self-regulated empathy education program, pre and post-test on aggression and empathic ability were administrated to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program(Ver. 20.0) to create an one-way ANOVA looking for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aggression and empathic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per the following: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on the aggression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elf-regulated empathy education program.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on all of the sub-factors of the aggression.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empathic ability o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elf-regulated empathy education program.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of the sub-factors of the empathic ability.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self-regulated empathy education program decreas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gression and increas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pathic. Therefore, the self-regulated empathy education program may contribute to improving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한국어
본 연구는 자기조절적 공감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으로 실험집단 24명, 통제집단 24명이며 실험집단에만 자기조절적 공감집단상담을 10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두 집단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험 집단의 각 회기별 소감문과 프로그램 종결 후 프로그램 활동 관찰 및 평가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적 공감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공격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공격성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간접적 공격성, 부정성, 흥분성에서도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적 공감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공감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조망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각성, 공감적 관심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활동 관찰 및 평가 내용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구성원들은 대체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계획을 세워 행동을 하며 친구의 입장을 공감하고 대화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자기조절적 공감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공격성 감소와 공감능력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방법
연구 대상
측정 도구
자료 처리 및 분석
결과
자기조절적 공감집단상담이 공격성에 미치는영향
자기조절적 공감집단상담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