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순종 탄신 오순 경축연의 시대적 의미 조명

순종탄신 오순 경축 기념연의 무동정재와 음악

원문정보

The Music from the Party Celeb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King Sunjong

이수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ongratulatory party that celebrated the 5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King Sunjong took place at Injeongjeon Hall in Changdeokgung Palace on March 25, 1923,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s the royal family would not hold any big events after the demise of King Sunjong in 1926, it was the last event by which one can track changes in the parties of the Joseon Dynasty. This was different from the usual parties of Joseon Dynasty. The changes involved the venue, as it was not held at Jeongjeon (the courtyard for the main building) but instead took place inside Donghaenggak and Injeongjeon placed in the corner, and it also involved the serving luncheon and dinner, with participants seated at two rows of Western-style tables. Such changes distinguished the party from the previous Jinyeon (palatial party) of the Joseon Dynasty. Despite such changes in the royal ceremonies, in contrast to the Korean Empire, specific norms were not adopted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e modernizing changes to the ceremonies between the Korean Empire and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how how the Joseon tradition developed into the modern tradition. Presumably, there were changes to the music and dance used at the party, but details on such alterations cannot be found. At the event, eleven instrumental pieces-including Taepyeongchunjigok-and seven pieces of Mudong jeongjae (“court dance music with a boy dancer”) were performed. Instrumental music and Mudong jeongjae were presented at both luncheon and dinner. When Mudong jeongjae was performed at the party, it drew attention, as this represented a restoration of a presentation that had been removed from the royal protocol 20 or so years before. Moreover, the students of Yiwangjik aakbu (“Office of the Yi Dynasty’s Ceremonial Music”) were trained to perform for the event, which was significant in that has carried the tradition of Mudong jeongjae up to the present times. Having considered the performance of Mudong jeongjae following the 50th anniversary of King Sunjong’s birth, Yiwangjik aakbu performed in Kyoto. Moreover, having been performed at the Kyoto presentation, Jangsaengboyeonjimu was learned by a Japanese dancer. Based on this, Miyako Odori was created in Japan. The work was performed at the exposition that not only marked the participation in World Expo but also celebrated the marriage of Hirohito and the 15th anniversary of the Korea-Japan annexation. Aalthough Mudong jeongjae was restored for the 50th anniversary of King Sunjong’s birth, it was one of the projects that was presumably planned and prepared for such purposes. Despite its changes, the ceremonie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ncluding the party that celebrated the 50th anniversary of King Sunjong’s birth, are highly significant in that they were crucial in carrying traditional Korean music up to the present times. Nevertheless, musicians’ strenuous efforts to carry the traditional music through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hould not be regarded as just one of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or reenacted in an optimistic manner. When considering the court ceremonie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e context of what happened to Yiwangjik aakbu should first understand; this will allow us to determine which parts of the ceremonies are to be carried on and which parts are to be objectively described.

한국어

순종 탄신 오순 경축 기념연은 일제강점기인 1923년 3월 25일 창덕궁 인정전에서 열렸다. 이 오순연은 순종이 1926년 승하하신 이후 왕실에 큰 행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므로, 조선식 연회의 변화를 알아볼 수 있는 거의 마지막에 행사라고 할 수 있다. 이 연회는 조선의 연회 방식과 다른 변화가 있었다. 연회 장소가 정전이 아닌 구석에 위치한 동행각과 인정전 내부에서 이루어졌던 장소의 변화, 오찬과 만찬이 서양식 테이블에 2열로 앉아서 이루어진 진행방식의 변화이다. 이러한 변화는 기존 조선의 진연의식과 다른 점이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이렇듯 왕실 의례 양상이 변화되었지만 일제강점기에는 대한제국 때와 달리 규범이 따로 마련되지 않았다. 근대적인 변화가 있었던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의례는 조선 전통이 어떻게 근대적 전통으로 진행되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오순연에서는 <태평춘지곡> 등 11곡의 연주곡과 <가인전목단> 등 7곡의 무동정재가 공연되었다. 이 무동정재는 조선왕실에서 폐지된 지 20여년 만에 복원되어 선보였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이왕직아악부 소속 아악생에게 연습시켜 공연하였는데, 이 일이 이후에 무동정재의 전통을 현대에까지 이어올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오순연 이후 이루어졌던 무동정재 공연 상황 중, 아악부의 일본 교토 공연이 있었다. 이왕직아악부는 공연이후 <장생보연지무>를 교토 가무회 교사에게 전수하여 주었다. 교토 가무회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미야코오도리 작품을 만들었다. 이 작품은 일본 히로히토의 결혼 축하․한일합병 15주년 기념 축하를 겸하여 만국박람회 참가 기념 박람회에서 공연하였다. 오순연과 일본의 행사가 시기적으로 매우 밀접하고, 한일관계가 식민지와 제국주의라는 억압적 상황이라는 측면에서 오순연 무동정재는 준비 당시부터 여러 목적을 위해 쓰고자 계획된 일 중의 하나였다고 추측된다. 오순연을 비롯한 일제강점기 의례는 변화된 모습이지만 현대 국악의 전승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에 치열하게 전승의 맥을 이어온 음악인의 노력이 음악 양상의 하나로 이해되어 낙관적으로 재현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일제강점기 궁중의례는 이왕직이 처한 상황의 전후 맥락을 파악하여 계승되어야 할 부분과 이해되어야 할 부분에 대한 검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순종 탄신 오순 경축 기념연
  1. 순종 탄신 오순경축 기념연 준비 상황
  2. 순종 탄신 오순경축 기념연 거행 순서와 장소
  3. 연주 악곡과 악기 편성
 Ⅲ. 순종 오순연 이후 무동정재 공연 및 생신연
  1. 신문기자대회 기자를 위한 공연
  2. 이왕직아악부 교토 공연
  3. 순종 탄신축연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수정 Lee, Sujoung. 동북아음악연구소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