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신건강전문가용 한국판 전문가 삶의 질 척도(K-ProQOL 5)의 타당화

원문정보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5(K-ProQOL 5)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

주혜선, 조윤화, 안현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develop Korean version of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5 (K-ProQOL 5; Stamm, 2010) and test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489 mental health practitioner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responses from 299 participants who had recently seen at least one trauma survivor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ll items of K-ProQOL 5 showed adequate mean, standard deviation, internal consistency and item-total correlation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yielded a structure of three inter-correlated factors,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79 out of the 299 participants took the test four weeks later to confirm good test-retest reliability. Cut-off scores were identified to help mental health workers to see their relative standing in each sub-test, and the validity of those scores were checked.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ways of appropriate applications of K-ProQOL 5 were address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간접 트라우마 노출에 따른 전문가들의 전반적 삶의 질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알려진 전문가 삶의 질 척도(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ProQOL 5; Stamm, 2010)를 번안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토하였다. 순번안 절차를 통해 번안된 ProQOL 5는 489명의 정신건강전문가에게 실시되었고, 지난 한주 간 1시간 이상 트라우마 생존자를 돕는 직무 수행 경험이 있는 정신건강전문가 299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K-ProQOL 5 문항들의 양호도, 내적 합치도 계수, 문항-하위요인 총점 상관계수 모두가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요인구조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감 만족, 소진, 간접 트라우마 스트레스 3요인이 상호상관 관계를 지니는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소진과 간접 트라우마 스트레스는 상호 높은 정적 상관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긍정적 적응 수준을 반영하는 변인들과의 관계에서는 현저한 차이를 보여 개념적으로 구분되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79명에게서 4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검토한 결과 양호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하위 척도별 상대적 비교가 가능하도록 절단점수를 산출한 이후에 절단 점수에 따른 하위 집단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 직무 소진이 유의한 집단 간 차이를 보임을 확인함으로써 절단 점수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K-ProQOL 5가 지니는 제한점이나 해석상 유의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기술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참여자 및 자료수집 절차
  측정도구
  자료분석
 연구결과
  K-ProQOL 5의 문항양호도 및 신뢰도
  확인적 요인분석
  K-ProQOL 5의 타당도
  K-ProQOL 5의 하위 척도별 T점수 산출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1. 한국판 전문적 삶의 질 척도(K-ProQOL 5)
 부록 2. K-ProQOL 5 환산표

저자정보

  • 주혜선 Hyesun Joo.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조윤화 Yoonwha Cho.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안현의 Hyunnie Ahn.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