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어교육실습 수업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강의 참관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f Learners’ Perception of Content and Methods of a Korean Practicum Class - Focusing on Class Observation -

기준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learners' perception of the content and methods of class observation in the Korean Practicum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Perception of class observation was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area of class observation and the contents of class observation. Perception of the methods of class observation, analyzed with respect to class observation subject, class observation time, class observation institution and class observation method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arners in "Observation of the Korean Practicum" perceived the functional area and the knowledge area as the most suitable area for class observation. Second, learners in "Observation of the Korean Practicum" indicated that the most essential contents for class observation was speaking in the function area and grammar in the knowledge area. Third, learners in "Observation of the Korean Practicum" perceived that elementary and intermediate classes were the most suitable subjects for class observation by proficiency level. Fourth, learners in "Observation of the Korean Practicum" indicated that the most suitable time frame for class observation were three times (nine hours total) and two times (six hours total). Fifth, learners in "Observation of the Korean Practicum" perceived that the most suitable institutions for class observation were "university-affiliated foreign student teaching institutions" and "marriage migrant teaching institutions." Sixth, learners in "Observation of the Korean Practicum" perceived that mixed off-line and on-line class observation was the most suitable class observation method.

한국어

이 논문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어교육실습에서 강의 참관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수강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강의 참관의 내용에 관한 인식은 크게 강의 참관 영역에 관한 인식과 강의 참관 내용에 관한 인식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강의 참관의 방법에 관한 인식은 강의 참관 대상, 강의 참관 횟수(시간), 강의 참관 기관, 강의 참관 방식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의 주요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강의 참관을 위한 영역으로 기능 영역과 지식 영역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강의 참관이 가장 필요한 내용으로 기능 영역에서는 말하기, 지식 영역에서는 문법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숙달도별 수업 중 강의 참관 대상으로 초급 수업과 중급 수업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강의 참관 횟수(시간)로 3회(총 9시간)와 2회(총 6시간)가 가장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강의 참관 기관으로 ‘대학 부설 유학생 교육기관’과 ‘결혼 이민자 교육기관’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강의 참관 방식으로 오프라인-온라인 혼합 강의 참관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기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선행 연구
 4. 강의 참관 내용과 방법에 관한 학습자 인식
  4.1. 강의 참관 내용에 관한 학습자 인식
  4.2. 강의 참관 방법에 관한 학습자 인식
 5. 나가기
 참고문헌
 첨부1: 수강생 배경 설문지
 첨부2 : 한국어교육실습 ‘강의 참관’ 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수강생 인식설문지
 국문초록

저자정보

  • 기준성 Ki Junsung.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