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원의 인식을 통해 본 교직의 현상과 향후 전망

원문정보

The phenomenon of teaching profession and the future which are represented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조석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rticle explored the phenomenon and future of teaching profession with the understanding that it remains in the linkage phase of previous positive interaction and prospective negative stag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the results of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annually administered around teachers’ day by The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s. The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 the trust model of teaching profession is analyzed to shift from the healthy type(high level of trust both for teachers and teaching profession) to the controversial type(high level of trust for teachers rather than teaching profession). This represents the increased centrifugal force in the part of students toward schools. This is linked with the increased involvement of teachers for schools. Teachers incentive program coincides with this change of teaching profession.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teaching profession ended up increasing the risk in the process of teachers’ activities. Teachers were cast into the burdensome position with the lowered authority over students and parents. This pivotal change have driven teachers to the copying strategy which moved from the commitment for high level of satisfaction to the comfortable settlement with bounded level of satisfaction. The policy implication is that it is necessary for government to rearrange the cost among educational stake-holders rather than just transferring to teachers.

한국어

이 연구는 현재 교직은 긍정적 선순환과 부정적 악순환의 국면이 맞닿아 있는 변곡점에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교직의 현상과 향후 전망을 탐색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한국교총이 매년 스승의 날에 즈음하여 조사·발표한 교원인식 조사(2004-2016년)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교직의 신뢰 모델에서 공교육에 대한 신뢰는 낮은 반면 교원에 대한 신뢰는 유지되는 갈등형이 부각되는 모습에 주목하였다. 교원-학생간의 상호의존성과 교원에 대한 존중이 모두 약해지는 상황에서 상호간의 원심력은 커지고, 교직은 규범적 관여에서 이해타산적 관여가 확장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다양한 교육개혁 조치와 맞물려 교직 내 위험 요인의 증가, 교원에게 전가된 비용 부담 구조 등을 통해서 교직의 만족 추구 모델에서 헌신형의 감소와 안주형 또는 심리적 은퇴형의 확장을 자극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최근 증가했던 명예퇴직 신청은 이러한 만족 추구 모델의 증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몇 가지 잠정적인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직의 신뢰 구조가 건강형에서 갈등형으로 이동하고 있고 교직의 정체성이 혼란을 겪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교직의 사명에 대한 심화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교원-학생-학부모간 인간관계를 권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통해 건설적 상승 관계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직 만족 추구 모델에서 헌신형이 유지되고 확장되기 위해서는 교직의 위험 요인 관리 및 유인가 확대에 필요한 비용의 분담 방식을 조정해야 한다. 교원-학생-학부모를 비롯하여 정부, 사회 간에 기존의 비용 분담 방식의 한계를 인정하고 새로운 분담 방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기존에 생산된 자료를 본 연구에 맞게 재해석하였고, 아직 정립되지 않은 탐색적인 모델을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를 가진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분석 자료
  2. 분석 방법
 Ⅲ. 교직의 현상
  1. 교직의 신뢰 모델
  2. 교직의 정체성과 인간관계
  3. 교직에서 교원의 만족 추구 모델
 Ⅳ. 교직의 향후 전망
  1. 교직에서 교원의 책임과 교직 개방
  2. 교직 정체성의 모순
  3. 헌신형의 감소와 비용 증가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석훈 Jo, Seog Hun. 가천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