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학생의 ‘토론할만한’ 공공쟁점 선정과 의미 : 쟁점 중심 교육의 학습자 적합성을 위한 질적 연구

원문정보

Middle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Debatable’ Public Issues : A qualitative Study for Relevance of Learners on Issues-Centered Education

오연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is study researches on middle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choosing standard on ‘debatable’ public issues in face-to-face classroom discussion. It was collected the data with in-depth interviews in order to explore students’ cognition of public issues. The goal of this study is serve the base in relevance of learners on issues-centered education. The conclusion could be summarized : ① Relation of learners : Students recognized relevance as the possibility of relation in comtemporary and future their lives, ② Social or Political problems : Students choose social or political problems proper theme through their social prospects, ③ Familiarity : The more encountered the issues on TV or SNS, the more familiar students feel, and familiar issues is recognized as relevant issues, ④ Controversy : Public issues could be chosen as controversial issues in learner inside, even it is social controversial already, but they were excluded in case of only conflict of participant without any their reasoning, ⑤ Political efficacy: The public issues arouse some social interest and possibility of change of society or political situation, ⑥ The expectation of teachers’ special role : In case teachers are expected to be an information source and a distributer about issues, students would choose them but public issues are excluded when teachers are expected to intervene or impose the position on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토론할만한’ 사회과 교실토론 주제로서 다양한 공공쟁점에 대하여 중학생들이 어떠한 준거로 선정하고 자신의 선정 준거를 어떻게 의미화 하는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학습자의 공공쟁점에 대한 인식의 양상을 이해하고자 심층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공공쟁점 중심 교육의 학습자 적합성을 실현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중학생들의 공공쟁점 선 정 준거와 그 의미는 다음의 6가지로 범주화된다. ① 학습자 관련성 : 자신과의 직접적 관련성뿐만 아니라 현재 혹은 미래의 관련 가능성까지의 관련성으로 의미화하며, ② 사회 문제 혹은 정치 문제 : 사회적 조망 이 가능한 사회 혹은 정치 문제를 교실토론 주제로 선정하며, ③ 친숙성 : 공공쟁점과 관련된 정보를 뉴스 나 SNS와 같은 간접 경험을 통하여 친숙하게 인식한 쟁점을 교실토론 주제로 선정하며, ④ 논쟁성 : 논쟁 적 공공쟁점을 선정하지만 그 논쟁성이 이성적 검토를 불가능하게 할 정도라면 교실토론 주제에서 배제하 며, ⑤ 정치적 효능성 : 공공쟁점이 사회적 관심을 일으키고 이것의 토론이 사회 혹은 정치 변화에 대한 기 여 가능성이 있어야 하며, ⑥ 특정 교사 역할 기대 : 교사가 정보의 원천과 제공자로서 기대되는 공공쟁점 을 선정하나 교사의 개입과 강요가 예상되는 것은 교실토론 주제로서 배제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II.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와 학습자 적합성의 문제
  1. 공공쟁점 선정 준거에서 학습자 적합성의 의미
  2. ‘토론할만한’ 공공쟁점에 대한 이해의 틀
 III. 연구 방법
  1. 핵심 연구 문제
  2.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1. 학습자 관련성 있는 공공쟁점과 그 의미
  2. 사회 문제 또는 정치 문제로서의 공공쟁점과 그 의미
  3. 학습자 친숙성 있는 공공쟁점과 그 의미
  4. 논쟁적인 공공쟁점과 그 의미
  5. 정치적 효능성 있는 공공쟁점과 그 의미
  6. 특정 교사 역할 수행 가능성 있는 공공쟁점과 그의미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연주 Oh, Yeon Ju. 충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