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11 개정 실과 교과서의 ‘기술의 세계’ 영역 단원평가 분석

원문정보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valuation Instrument based on the ‘World of Technology’ Domains of Practical Arts Textbook According to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김형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nits on the‘World of Technology’ domains of practical arts textbook according to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implement this proposal, the study employs 6 different textbooks published in 2011. For this, methods of study made use of review of literature and analysis of precedent research with practical arts textbooks. An analysis criteria for textbook analysis were evaluation tool’s type, Bloom’s objective domain, achievement criteria(content element)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Evaluation Quotient. When it comes to the study method, evaluation analysis which is appropriate for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the further researches and strategies for using results of the study.

한국어

이 연구는 2015년에 발행되어 학교 현장에 보급된 6종 실과 교과서 ‘기술의 세계’ 영역에 해당하는 6단원의 단원평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준거는 평가의 형태, Bloom의 목표 분류, 2011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 Romey의 분석 방법에 따른 평가지수이다. 분석 준거에 의해 비교 분석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1 실과 교육과정 ‘기술의 세계’ 영역에 해당하는 6개 단원 전체에 단원평가의 문항수가 가장 많은 교과서는 A교과서, 가장 적은 것은 C, D교과서로 나타났다. 6개 단원의 단원평가 문항 유형의 대부분은 주관형 보다는 객관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단원에서 단답형 문항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1 실과 교육과정 ‘기술의 세계’ 영역에 해당하는 6개 단원 중 평가 항목의 수가 가장 많은 단원은 ‘생활과 전기· 전자’ 단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의 세계’ 영역에 해당하는 6개 단원평가는 인지적 영역이 가장 많았다, 넷째, 2011 실과 교육과정 ‘기술의 세계’ 영역에 해당하는 6개 단원평가는 2011 실과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성취기준 모두를 제시한 단원은 하나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2011 실과 교육과정‘ 기술의 세계’ 영역에 해당하는 6개 단원평가의 평가 Q 지수는 모든 단원에서 A 교과서를 제외하고는 바람직한 값이 나오지 않았다.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몇 가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앞으로는 평가의 중요성 측면에서 볼 때 될 수 있으면, 중단원과 대단원 모두에 단원평가가 있는 교과서가 개발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둘째. 평가의 도구가 갖추어야 3요소 중에 하나인 타당도 측면에서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의 달성 여부를 측정하는 것과 목표의 유형에 적합한 도구를 개발하여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실과교과는 단순한 지식을 평가 하는 것보다는 심동적 영역을 평가함에도 불구하고 평가도구가 수행평가 특성 보다는 객관형 답을 요구하는 것이 많았다. 이러한 점은 앞으로 교과서 개발 시 개선해야할 점이다. 넷째, 수행평가의 한 형태인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자기평가는 자칫 평가의 신뢰도와 객관성이 떨어지게 만들 수 있고, 응답자인 학생이 성의 없게 평가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자기평가와 더불어 동료 상호평가나 교사평가가 보완될 수 방안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대상과 범위
  2. 분석 내용
  3. 분석 방법 및 기준
 Ⅳ. 연구 결과
  1. 단원별 평가 내용과 문항 유형
  2. 목표분류 기준에 의한 단원평가 비교
  3.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성취기준별 교과서 분석
  4. Romey 분석에 의한 단원별 평가지수
 Ⅴ.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2.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형균 Kim, Hyung-Gyun. 공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