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호서지역의 지석묘와 그 보존 및 활용

원문정보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Dolmen Sites in the Hoseo Region

손준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firstly establishes a corpus of excavated dolmens in the Hoseo region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While more than seven hundred dolmens are confirmed, only one hundred eighty four dolmens from fifty nine sites are reported. As for the type of dolmens, the cover stone style(Kaesoek-sik) dominates a significant part, also large numbers of the table style(Takja-sik) and Go-board style(Kiban-sik) are confirmed. Excavated artefacts show that these dolmens were built mainly in the stage of the Songgukri culture, or the Late Bronze Age. In this period, much more Songguk-ri style tombs are distributed in the Hoseo region, which seemingly prevented flourish of dolmens in this area. In addition, mounds or sign stones for cemetery area were not preferred, while pillar pit lines are confirmed, probably for the protection of the area of dolmens. Second, site reconnaissance was conducted for the sake of research for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dolmen sites. The dolmens registered as cultural properties count fifty seven dolmens in thirteen cases, conserved ones without registration count forty nine in twenty cases, most of which are preserved in good condition. However, it is only due to their material, stone, which kept them from significant degradation as in many cases they seem not to be well managed. Especially there are few effort for raising awareness of importance of dolmens as cultural properties to the citizens through educational use of these dolmens. Considering the variety of dolmen styles in the Hoseo area, it can be proposed that the archaeological park where they show this variety of dolmens in one place should be built. Not only basic facilities but also a spac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cademic archives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y can hold regular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o raise awareness of citizens, as well as to play a role as a research centre of dolmens.

한국어

본고에서는 먼저 호서지역에서 발굴 조사된 지석묘 자료를 집성하여 그 특징을살펴보았다. 지금까지 확인된 지석묘의 수는 약 700여 기이지만, 실제 발굴 조사가이루어져 보고된 것은 59개 유적 184기에 불과하다. 지석묘의 형식은 전체적으로개석식의 비율이 높은 가운데 탁자식과 기반식 또한 다수 확인된다. 축조 시기는 출토유물을 볼 때 대체로 송국리 문화 단계, 즉 후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 호서지역에는다른 지역에 비해 다수의 송국리형 묘제가 분포하는데, 이러한 관계 속에서 지석묘문화가 일정 수준 이상 번성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밖에호서지역 지석묘의 특징으로 성토부나 묘역 시설 등을 그다지 선호하지 않은 점, 지석묘축조 또는 보호와 관련된 시설로 추정되는 주공렬이 확인되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현지답사를 통해 호서지역 지석묘의 보존 현황 및 활용 실태를 살펴보았다. 문화재로 지정·관리되고 있는 지석묘는 13개 지점 57기, 문화재로 지정되지는않았지만 발굴 조사 이후 보존된 지석묘는 20개 지점 49기이다. 현지답사 결과대체로 보존된 지석묘의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는 지석묘의재질이 암석이라는 점에 기인한 것이며, 실제로는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상태로 방치된 사례가 적지 않다. 특히 지석묘의 문화재적 가치를 일반인들에게 널리알리기 위한 교육적·활용적 측면에서 부족한 부분이 많다. 호서지역 지석묘의 분포및 특징에 적합한 보존 및 활용 방안으로는 각지에서 조사된 다양한 형식의 지석묘를한 곳으로 모아 전시하는 테마파크의 조성이 필요하다. 여기에 각종 편의 시설은 물론유물 전시관과 교육 공간, 학술 자료실 등을 마련하여 정기적인 체험 행사 및 교육활동을 실시함으로써 일반인의 지속적인 관심과 방문을 유도하면서 동시에 지석묘 연구센터로서의 역할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발굴 조사된 지석묘의 현황과 특징
 Ⅲ. 보존 및 활용 실태
  1. 문화재 지정 지석묘
  2. 문화재 비지정 지석묘
 Ⅳ. 문제점과 앞으로의 개선 방향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손준호 Joon-ho Son.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