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鄭玄 禮學의 이론 구성적 성격 -정현 三禮學과 古禮의 재구성-

원문정보

Theory-Constructing Characteristics of Zheung Xuan’s Study of Li(Rites) -Zheung Xuan’s Study on the Three Classics of Li and Reconstruction of Ancient Li -

정현 예학의 이론 구성적 성격 -정현 삼례학과 고예의 재구성-

박례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ring the Han Dynasty, courtiers and scholars of Li(Rites) came to recognize the reality of Zhouli(rites of Zhou Dynasty) by studying various materials of the ancient Li, and they rightfully posited the ancient Li to be ‘Lijing (the Classic of rites)’ that contains the ethical values and political ideals of Confucius and Zhou Gong. This implies that for the first time the pragmatic value of the ancient Li was tested and verified on a national level, and that the idealogical legitimacy of the institutions of Li was secured. The scholars of Jinwen(New text) responded by presuming ‘kings’ court rites’ in the light of ‘rites of the Shi(士)’, while the Guwen(Old text) scholars of Li challenged the authority of 『Lijing』 in Jinwen, with the specific illustration of kings’ court rites and lords’ court rites that are abundantly exemplified in Guwen materials and 『Zhouli』. Zheung Xuan thoroughly reexamined and systematically sorted the ancient Li materials. His historical research and comparative analysis of Li consequently resulted in shaping the standardized three classics of Li, that is, 『Zhouli』, 『Liji』, and 『Yili』. He also finalized the study of Li of the Han Dynasty by restructuring the Lijing system of the ancient Li. He placed 『Yili』 inside 『Zhouli』, and positioned the eight-Li system within the framework of the five-Li system. In other words, Zheung Xuan put the individual realm of ethics under the state power, and suggested a model state whose political validity and social ideals are ultimately sought through individual practice of rites. Historical truths and theoretical constructs coexist in Zheung Xuan’s Study on the Three classics of Li, where divergent rites and meanings are mutually clarified and situated within a unified ‘Lijing’ system.

한국어

한대 조정과 예학계는 다양한 ‘고례’의 자료들을 통해서 주례의 실체를 인식해갔을 뿐만 아니라, 고례를 공자와 주공의 윤리적 가치와 정치적 이상을 담은 ‘예경’으로 정위하였다. 이것은 예제의 이념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임과 동시에, 신례의 제정에 있어 최초로 ‘고례’의 현실적 효용 가치를 국가적으로 검증하고 실험한 것이다. 금문 예학계는 ‘사례’ 중심의 『의례』를 미루어 ‘왕조례’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이에 대응했으나, 고문 예학계는 왕조례와 방국례가 풍부한 고문 자료와 『주례』를 앞세워 금문 『예경』의 권위에 도전하였다. 정현은 고례 자료들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체계적으로 선별하는 교감 작업을 통해 『주례』, 『예기』, 『의례』의 삼례서를 정본화하고, 고례의 예경 체계를 재구성함으로써 한 대 예학을 총결하였다. 이것은 『주례』안에 『의례』를 귀속시키고 오례 체계 안에 팔례 체계를 정위시킴으로써, 개인의 도덕적 영역을 국가권력에 귀속시킴과 동시에, 정치적 정당성과 사회적 이상을 궁극적으로 개인의 의례적 수행에서 찾는 국가 모형을 제시한 것이다. 통일된 예경 체계 안에서 상이한 의례와 의미들이 상호 정위되고 해명되는 정현의 삼례학에는 사실(史實)과 이론적 구성이 공존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鄭玄 三禮學의 예학적 연원과 배경
  1) 漢代의 古禮 자료들과 ‘古禮’의 개념
  2) 漢朝의 新禮 모색과 今古文 예학계의 대응
 3. 古禮의 재구성으로서 정현의 삼례학
  1) 三禮書 校勘을 통한 고례 자료의 전면적 검토와 체계적 선별
  2) 三禮注를 통한 고례 ‘禮經’ 체계의 재구성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례경 Pak Ryegyong. 연세대학교 동아시아고전연구소, 전문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