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father who participates actively in child-rearing and child-educating emerged as a new trend of father model.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father participation through housework time and childcare time based on the hypothesis of housework participation. Data of 492 fathers who have school aged child were collected by online survey. The analysis of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s showed that fathers’ time spent on housework and childcare were effected by father’s working conditions and family demands. Working conditions such as working hours, leaving work on time, working flexibility were significant variables on father participation. Family demands such as child school grade and dual-earner were significant factors on father participation. These results support the time availability hypothesis and family demand/respond capability hypothesis.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supporting father’s work and family balance. Family-friendly policy will be necessary for father particip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최근 아버지상의 변화와 더불어 실제 아버지 참여가 얼마나 증가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아버지참여 이론 및 가설에 근거하여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령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92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아버지의 가사노동시간과 자녀돌봄시간을 통해서 아버지 참여 수준과 아버지가 실제 가사노동과 자녀돌봄에 참여하기까지 어떤 요인이 작용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아버지의 가사노동시간과 자녀돌봄시간은 아버지의 주당근로시간과 정시퇴근도, 근무융통성와 같은 근무시간관련 변인 그리고 자녀학령급과 맞벌이여부와 같은 가족요구 변인이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영향 변수로 나타나, 시간가용성 가설과 요구반응가능성 가설이 타당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근무시간단축 뿐 아니라 정시퇴근이나 유연근무제와 같은 가족친화제도 도입이 아버지참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된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남성의 일가정양립을 위한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시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아버지참여 지원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아버지참여의 의미와 실태
2. 아버지참여 이론 및 가설
3. 아버지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 연구도구
Ⅳ. 연구결과
1. 아버지의 가사노동시간 및 자녀돌봄시간의 전반적 경향
2. 아버지의 가사노동시간 및 자녀돌봄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