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서인식명확성, 정서강도, 고통감내력과 우울 및 불안 증상의 관계

원문정보

Emotional Clarity, Affect Intensity, and Distress Tolerance on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이찬미, 유성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emotional clarity, affect intensity, and distress tolerance on comorbid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as well as their differential contributions to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respectively. Five hundred thre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Trait Meta-Mood Scale (TMMS), Distress Intolerance Index (DII), Affect Intensity Measures (AIM), Korean-Beck Depression Inventory II (K-BDI-II), and Korean-Beck Anxiety Inventory (K-BAI).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emotional clarity and distress toleran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morbid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whereas affect intensity was not. Affect intensity was differentially associated with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which increased affect intensity was associated with anxiety symptoms while decreased affect intensity wa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Futhermore, distress intolera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depressive symptoms, and affect intens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anxiety symptoms. Specifically, low levels of emotional clarity increased depressive symptoms for individuals with low distress tolerance while increased anxiety symptoms for those with high affect intensity. This study indicated common and differential roles of emotional clarity, affect intensity, and distress tolerance on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정서인식명확성, 정서강도, 고통감내력이 우울 및 불안 증상의 공병을 예측하는지 알아보고 이들의 상호작용과 우울 및 불안 증상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및 대학원생 503명을 대상으로 특질 상위-기분 척도(TMMS), 정서강도 척도(AIM), 고통감내력 부족 척도(DII), 한국판 벡 우울척도 2판(K-BDI-Ⅱ), 한국판 벡 불안척도(K-BAI)를 실시하였다. K-BDI-II와 K-BAI 점수에 기반을 두어 분류된 정상군, 단일장애 증상군, 공병 증상군의 집단 간 차이검증 결과 정서인식명확성과 고통감내력 부족은 단일장애 증상군과 공병 증상군을 유의하게 구분해주었지만 정서강도는 이 두 집단을 유의하게 구분해주지 않았다. 우울 및 불안 증상 각각에 대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정서강도는 높을수록 불안 증상이, 낮을수록 우울 증상이 높게 나타나 우울과 불안 증상에 차별적으로 기여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 검증 결과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 증상의 관계는 고통감내력이, 정서인식명확성과 불안 증상의 관계는 정서강도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정서인식명확성이 낮은 경우 고통감내력이 낮으면 우울 증상을, 정서를 강하게 경험하면 불안 증상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인식명확성, 정서강도, 고통감내력이 각각 우울 및 불안 증상에 기여하는 공통기저요인이지만 이들 간의 상호작용이 우울 및 불안 증상에 차별적으로 기여함을 보여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결과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단일장애 증상군과 공병 증상군의 비교
  정서인식명확성, 정서강도, 고통감내력과 우울 및 불안 증상의 관계에 대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 및 불안 증상의 관계 : 정서강도와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찬미 Lee Chanmi.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유성은 Sungeun You.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