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장의 분산적 지도성과 교사만족도 관계에서 교사 및 학교 특성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 and School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Distributed Leadership and Teachers’ Satisfaction

김이경, 민수빈, 김현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of school principals’ distributed leadership perceived by teachers and teachers’ satisfaction level, along with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 and school factors as modera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Utilizing the survey data of 6,442 middle school teachers across South Korea extracted from the 「An Analysis of the Level of School Education and Its Actual Condition」 administer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uch methods a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are applied. Data analyses show that the levels of teachers’ perception on principals’ distributed leadership as well as their job satisfaction are relatively higher. Their perceptions, however, show statistical difference depending upon their personal backgrounds as well as school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their exis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ed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teachers’ satisfaction, while those moderator variables such as teachers’ position, education level, school location and type affect the strength of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s study reaffirms the importance of school context as well as shared responsibilities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in boosting the level of teachers’ satisfaction toward their jobs and schools.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는 학교장의 분산적 지도성과 교사 만족도 수준 및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교사 개인과 학교 특성을 이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로 설정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교육개발원「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4주기 중학교 데이터(2013년)의 교사 6,496명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구조방정식 모형 및 조절 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장의 분산적 지도성에 대한 인식이나 교사 만족도는 모두 양호한 편이었지만 교사의 성별, 학력, 담임 여부, 직위나 학교의 소재지, 설립 유형에 따라 인식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학교장의 분산적 지도성은 교사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학력, 직위, 담임여부와 같은 교사 개인 특성 및 근무학교 소재지, 설립유형과 같은 학교 특성은 학교장의 분산적 지도성과 교사 만족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서 학교장의 분산적 지도성 발휘가 교사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두 변수 간 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서 교사 개인이나 학교 특성의 중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장의 분산적 지도성 역량과 교사 만족도 제고에 필요한 시사점 및 제도적 실행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분산적 지도성
  2. 교사 만족도
  3. 변인 간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조사 도구
  3. 연구 모형
  4. 분석 절차 및 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및 논의
  1. 교장의 분산적 지도성의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
  2. 교사 만족도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
  3. 교장의 분산적 지도성이 교사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 효과 분석
  4. 종합 논의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이경 Kim, Ee Gyeong. 중앙대학교
  • 민수빈 Min, Soo Bin. 중앙대학교
  • 김현정 Kim, Hyun Jeong. 중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