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educational drama for the improvement of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the study identifies the concept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maturity. And the elements of career maturity for elementary students are selected as follows: self-understanding from the category of ability, job planning, attitude towards work, independence from the category of attitude. Depending on the claim that the growth of the other elements grounded upon self-understanding, the study mainly deals with self-understanding. In addition, by exploring the relevance of educational drama and self-understanding of career maturity, the potential of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educational drama is explored in terms of whether it can improve the career maturit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is conducted upon 6th year of primary school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pupils who are under researcher’s charge in their sixth grade in T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The career program are established by extracting and integrating the content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in 6th year curriculum. The program is devised using educational drama according to pivotal questions related to the goals consisting of 8 sections and 20 terms. This study includes only the category of attitude and self-understanding of career maturity since it is found that the elementary students are in a career awareness step. As a pre-test and post-test,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career maturity for teenagers by KRIVET(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are used. Also for complementing the limit of quantitative analysis in statistical evaluation, data of observation, pupils' diaries, field notes and recording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The outcome of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s is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test and post test in the elements of both overall career maturity(p<0.01) and job planning(p<0.01), attitude towards work(p<0.05), self- understanding(p<0.01) and independence(p<0.001). The analyses of data of researcher's observation, pupils' diaries, field notes and recording reveals that students’ attitude elements of career maturity improve through self-understanding and there is positive changes in communication skills and friendship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the career maturity of the elementary school pupils.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하여 교육연극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진로교육과 진로성숙도의 개념을 정립하고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을 능력 영역의 자기이해, 태도 영역의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독립심 등으로 선정하였다. 자기이해 영역 을 바탕으로 다른 하위영역들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는 주장에 따라 자기이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 교육연극과 진로성숙도의 자기이해와의 관련성을 탐구하여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연 극 활용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고, 초등학교 6학년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과통합 적인 진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연구자의 담임학급인 경기도 소재의 T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 23명의 학생으로 프로 그램의 목표에 적합한 핵심질문을 선정하였고, 총 8회기 20차시에 걸친 교육연극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측정을 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개발한 청소년을 위 한 진로성숙도 검사를 사전, 사후에 투입하였고, 통계적 결과에서 드러나지 않는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 여 참가자의 회기별 활동지, 교사일지, 소감문, 꿈일기, 녹음 자료 등 정성적 자료를 함께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진 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전체 진로성숙도(p<0.01)와 진로성숙도의 하위 영역 중 계획성 (p<0.01), 일에 대한 태도(p<0.05), 자기이해(p<0.01), 독립성(p<0.001)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정성적 분석에서는 자기이해를 통한 진로성숙도의 태도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의사소 통능력 및 교우관계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자가 개발한 교육연극 활용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에서의 진로교육
2. 진로성숙도
3.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한 진로교육의 중요성
4. 자기이해와 교육연극과의 상관성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설계
3. 측정도구
4. 연구 절차
5. 자료의 처리 및 분석
Ⅳ.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1.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2. 교육연극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준거
3. 교육연극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요
4. 교육연극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Ⅴ. 프로그램 적용 결과 및 분석
1.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