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패션분야 학점은행제 표준교과과정과 교육기관 현황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n the Standard Curriculum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in Fashion Fields

김선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ckground Academic credit bank system as part of open lifelong education is currently a stepping stone to special manpower's training pool in fashion field.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initiate related studies and improvement of standard curriculum by evaluating academic credit bank system's curriculum and reality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fashion. Methods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literature and covered 24 independently oper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major of fashion design and business as of January 2015. Content analysis was in accordance to degrees, standard curricula by the major, major details in institution, course offerings, and in-depth interviews to educational institutions workers. Resul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shion fields of academic credit bank system's curriculum were set to two majors: fashion design and fashion business. In several institutional bodies, accredited vocational training center was most common, followed by private technical institute and social training institute. Second, theory-and-practice integrated subjects comprised the largest part of subjects announced in the standard curriculum. The number of required subjects in major was set up similarly according to the degree or major. However, the number of elective subjects in major showed a big difference based on the major. Third, the subject with the largest number was fashion marketing field and then fashion design, clothing construction, textile material, and costume history among the subjects announced in standard curricula. Fourth, there were eight kinds of national certificates accepted as major credit in fashion design and one or two in fashion business. Fifth, educational institutions had their own subjects available in accordance to standard curriculum but the provided elective subjects except required ones differed between the educational organizations. However, only similar subjects were opened in them, showing an unequal course distribution. Conclusion This work confirmed the necessity to reconsider an academic credit bank system in fashion field and extend the fashion education in the form of lifelong education. With courses differentiated from colleges in dealing with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more diversity will be achieved than ever before in generating the fashion-related jobs, as well as activating the extended education.

한국어

연구배경 열린 교육,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전개된 학점은행제는 패션분야에서도 전문 인력을 창출할 수 있는 디딤돌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패션분야 학점은행제의 교과과정 및 교육기관 현황을 파악한 것으로 관련 연구 활성화 및 패션분야 표준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문헌 조사방법이며, 2015년 1월 기준 패션디자인, 패션비즈니스 전공을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24개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내용은 학위, 전공별 표준교육과정, 교육기관의 세부전공 및 교과목 개설 현황 등을 분석하였고, 교육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로 첫째, 학점은행제 패션분야는 패션디자인과 패션비즈니스 전공 두 가지로 지정되어 있으며, 교육기관은 인정직업훈련원이 가장 많았고, 기술계학원, 대학부설 사회교육원의 순이었다. 둘째, 표준교육과정에 고시된 과목은 이론과 실습 병행 과목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학위나 전공별로 전공 필수과목 개수는 유사하게 구성되었지만, 전공 선택 과목은 전공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셋째, 표준교육과정에 고시된 전체 과목은 패션마케팅 분야가 가장 많았고, 패션디자인, 의복구성, 섬유소재, 복식사 분야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공학점으로 인정되는 국가자격증은 패션디자인 전공의 경우 8개이고, 패션비즈니스 전공은 1~2개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기관마다 표준교육과정에서 고시한 과목에 준하여 운영 중이나 전공 필수 과목을 제외한 전공 선택 과목은 각 기관별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각 기관 모두 유사한 과목만이 개설되어 과목별 편중을 나타냈다. 결론 이상의 연구를 통해 패션분야 학점은행제에 관한 제고 및 평생학습으로서 패션 교육의 확대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변화된 교육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대학과 차별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면 학점은행제를 통한 평생교육의 활성화는 물론 패션직업 창출의 다양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학점은행제 개념과 대상
  2.2. 학점은행제 운영 현황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4.1. 교육기관 현황
  4.2. 패션 학사 및 전문학사 표준교육과정
  4.3. 교육기관 유형별 교과목 분류
  4.4. 교육기관 종사자 견해 분석 및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선영 Kim Sun Young. 순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