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별에 따른 아동기 사회적 관계가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Social Relations in Childhood on Self-Concept and School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Gender

김희영, 곽수란, 양미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 in childhood on self-concept and school life adjustment using the KCYPS(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It set the basic assumption that parent, teacher and peer relations as the important social relations factors in childhood have causal relationship in self-concept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is study included 2,363 grade 4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participants(male 1,239 and female 1,124). The analysis programs were SPSS and LISREL.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parent, teacher and peer relations had direct and indirect the positive influences on the self-concept and school life adjustment. But the causal relationship of gender had no difference. In sum, thes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e effects of causal relationship of social relations in childhood on self-concept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is could provide the basis for a meaningful training program on child development and related research to promote social relationships in childhood.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한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1차 자료를 활용하여 아동의 사회적 관계를 부모, 교사, 교우와의 관계로 설정하고 이러한 특성이 아동기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남, 여학생 총 2,363명이 표본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아동기 사회적 관계, 자아개념, 학교생활적응의 인과관계를 추정하였으며, 이러한 인과관계 맥락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으로 구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동의 사회적 관계는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자아개념 또한 학교생활적응에 정적효과를 나타내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적 관계는 자아개념을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성별 간에 인과관계 맥락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기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동기 사회적 관계 증진을 위한 아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연구에 의미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기초통계량 분석
  2. 아동기 사회적 관계, 자아개념, 학교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
  3. 아동기 사회적 관계, 자아개념, 학교생활적응과의 인과관계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희영 Hee-Young Kim. 광주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곽수란 Soo-Ran Kwak. 고구려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양미경 Mi-Kyung Yang. 초당대학교 아동청소년상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