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연구실 환경에서의 질량농도 측정을 통한 Aluminium oxide의 거동 평가

원문정보

Behavior Evaluation of Aluminium oxide through Measurement of Mass Concentration under Laboratory Environment

박정화, 김동현, 김종규, 김형식, 김정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development of nanotechnology, the amount of nanomaterials increases and the problems of environment and the toxic property associated with it have become a social problem. But regulations and laws of nanomaterials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as the database of safety guidelines for research activities’ workers associated with nanomaterials to conduct a behavior evaluation of aluminium oxide, which is most widely used in thirteen kinds of WPMN manufactured nanomaterials in the country. The experiment proceeds in the chamber reduced to 1/6 size of the actual laboratory, the test method was performed in NIOSH 0500.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ass concentration wa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particle size of the nanomaterials. And the mass concentration during the operation of ventilation equipment was reduced to about 1/8 times. In the future, it can be utilized as the database of safety guidelines for research activities’ workers associated with nanomaterials.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the experiment of the mass concentration by particle size and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s will be needed additionally.

한국어

나노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나노물질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그에 따른 환경 및 인체 유해성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으나 나노물질에 대한 규제나 법규는 아직 제정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PMN에서 지정한 제조나노물질 13종 중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물질인 aluminium oxide의 거동평가를 실시하여 연구활동종사자들을 위한 안전지침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실제 연구실을 1/6의 크기로 축소하여 제작한 chamber에서 진행되며, NIOSH method 0500에 준하여 질량농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질량 농도는 물질의 입자 크기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기 설비의 작동만으로 질량농도가 약 1/8배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향후 나노물질 관련 연구활동종사자를 위한 안전지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입경에 따른 질량농도, 수농도 측정등의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실험재료
  2.2 측정장치
  2.3 실험 준비
  2.4 실험 방법
 3. 연구 결과
  3.1 Morphology(Aluminium oxide)
  3.2 질량 농도(M.C; Mass Concentration)
  3.3 Morphology(Filter)
 3. 결론 및 고찰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정화 Jeong-Hwa Park. 호서대학교 대학원 안전공학과
  • 김동현 Dong-Hyun Kim. 호서대학교 대학원 안전환경기술융합학과
  • 김종규 Jong-Kyu Kim.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김형식 Hyung-Sik Kim. 호서대학교 대학원 안전공학과
  • 김정훈 Jeong-Hun Kim. 호서대학교 대학원 안전환경기술융합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