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ulture Convergence(CC)

조선시대 어만두(魚饅頭)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 의궤와 고문헌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 and Cooking Methods for Emandoo during the Joseon Dynasty, with a focus on Euigwe and old literature

오순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and cooking methods of Emandoo as recorded in 15 royal palace studies and 8 old literature text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9). Early Joseon Dynasty kind of Emandoo one kind, two kinds of mid and late 15 kinds, a total of 18 paper was introduced. A Emandoo ingredient materials of a pheasant, chicken, beef, abalone, sea cucumber, etc. were used. Emandoo were able to see that the current 'mulmandu' form of life that icing on the water after the starch into a small thin sliced fish flesh. The size of a Emandoo made small clams. The use of 'Gocho (苦椒)' on Chojang(醋醬), starting with 'emandoo" of Muhsin jinchan Euigwe"(1848) Further study will be conducted on recipes and ingredients recorded in these Euigwe and old books in order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ipe to make Emandoo appealing to a global palate.

한국어

조선시대 의궤 15책과 고문헌 8권에 수록되어 있는 어만두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전기에는 1종, 중기에 2종, 후기에 15종으로 모두 18종이 소개되었다. 만두소의 재료로는 꿩, 닭, 소고기, 전복, 해삼 등이 사 용되었다. 어만두는 생선살을 얇게 저며 소를 넣고 녹말을 입힌 후 물에 삶은 것으로 현재의 ‘물만두’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어만두의 크기는 작은 모시조개 크기로 만들었다. 초장에 ‘고초(苦椒)’의 사용은 「무신 진찬의 궤」(1848년)의 ‘어만두’를 시작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어만두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메뉴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 조선시대 어만두의 종류
  2. 조선시대 어만두의 재료구성
  3.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어만두탕’의 조리법
 Ⅳ.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표

저자정보

  • 오순덕 Oh, Soonduk. 정회원, 조선왕조의궤 음식문화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