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거 이론을 활용한 초등교사 소진 및 대처 과정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Burnout and Coping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허난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burnout and coping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and examine the needs for burnout prevention related policies and counseling servic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asual condi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burnout include four themes - excessive duties which is not related to teaching, unmanageable students, relational violence by parents or school administrators and trauma after a school accident or a lawsuit. Participants reported cognitive, emotional and physical changes in addition to the difficulties in performing teachers' duties while they perceived themselves as being burnout.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intensive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ger, anxiety, and sense of betrayal. Some participants also reported defensive and skeptical attitudes toward school, students, and parents, and drained psychological energy to care for students. Participants used problem solving strategie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positive reconstruction, conformity, keeping distances from stressors and using social resources as coping strategies. Regaining self-efficacy as a teacher and rebuilding trust relations with stake-holders of school system were reported as helpful elements in the burnout recovery process. Lastly, suggestions for the policy and counseling services for the preven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are provided.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이 경험한 소진 및 대처 과정을 근거 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이해하 고, 초등 교사 소진 예방을 위한 정책과 상담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 다. 이에 총 12명의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구두 면접 또는 전화 통화 등을 통한 심층 면접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소진의 인과적 조건으로는 총 4가지 주요한 원인군(과중한 업무, 통제 불가능한 아동들, 학부모나 학교 관리자의 관계적 폭력, 안전사고, 소송 등 사건 관련 트라우 마)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되었다고 인지한 기간 동안 참가자들은 인지적, 정서적, 신체 적 변화와 직무 수행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참가자들은 우울, 분노, 불안, 배신감, 억울함 등 강렬한 부정적 정서들을 경험했으며, 일부 교사들은 학교, 학생, 학부모에 대한 방어적, 회 의적 태도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소진 경험 당시 참가자들은 교사와 개인으로서의 자존감 저하와 함께 학생들을 돌볼 심리적, 시간적 여유가 부족해짐을 경험하였다. 참가자들은 문제 해결적 전략, 전문성 향상 노력, 긍정적 재해석, 거리두기, 사회적 자원 활용 등의 방법을 통해 소진에 대처하였으며, 교사 효능감의 회복과 교육 주체들과의 신뢰 관계 회복은 소진으로부터 벗어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 교사 소진 예방을 위한 행 정 지원책과 상담 서비스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 소진의 양상과 관련 변인
  2. 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 소진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자료 수집
  3. 질적 연구의 타당도(Trustiworthiness)
  4. 자료 분석
 Ⅳ. 결과
  1. 초등 교사의 소진 및 대처 과정에 대한 개념과 범주
  2. 초등 교사 소진 및 대처 과정에 대한 패러다임 모형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난설 Nanseol Heo. 서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