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cenario-Based Approach on First Mover Advantage
초록
영어
We focus on 16 pioneer startups that are listed in Fortune 500 from 1993 to 2003, which achieved remarkable performances within thirty years or less since their initial takeoff. In order to scrutinize their performance, this study performs an empirical study based on four business scenarios that are constructed with high and low values of firm level quality and exogenous market shock. According to the main findings, it is evident that the performance of the niche marketers is superior when their relative quality is high, and between the two types of shocks, the quality affects more to their performance. According to a dynamic panel GMM estimation, it is found that the size expansion of the niche marketers have two year lag effect on the relative quality variable and their profitability has three year lag effect. These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aggressive strategic investments for enhancing quality is strongly required for the success of recently established but rapidly growing niche marketers.
한국어
본 연구는 16개사의 틈새시장 개척 신생기업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기업성과를 네 가지 시나리오 하에서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틈새시장 개척 이후 기존의 대기업들의 시장진입 가능성을 열어 두고 이들의 진입신호에 따라 신생기업들의 상대적 품질수준이 결정된다는 점에 준하여 상대적 품질수준의 高低와 외생적인 시장충격의 高低에 따른 네 가지 조합에 따른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품질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생산요소 간 교차항을 허용하는 총요소생산성(total factor productivity) 방식과 총매출액 AR(1) 방식을 사용하였다. 네 가지 시나리오는 구체적으로 {高상대적 품질수준, 高시장충격}, {高상대적 품질수준, 低시장충격}, {低상대적 품질수준, 低시장충격}, 그리고 {低상대적 품질수준, 低시장충격} 등과 같다. 실증분석은 크게 네 가지 시나리오 하의 패널분석을 시도하고 동태적 패널 GMM 모형을 이용한 시차효과(lag effect) 추정하였다. 기업성과 변수로써 규모변수는 총매출액과 총자산이 사용되었고 수익성 변수로는 매출총이익과 ROI가 사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는 외생적인 시장충격이 유리할 경우보다는 상대적 품질수준이 높을 경우 틈새시장 개척 신생기업들의 규모 확장이 빠르고 수익성이 보다 높다는 점을 제시한다. 또한 시차 효과는 규모변수의 경우 최대 2년의 시차효과가 존재하고 수익성 변수의 경우는 최대 3년의 시차효과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틈새시장을 개척한 신생기업들의 시장 선점자 우위의 지속성을 위하여서는 품질수준 향상을 위한 선행투자가 필수적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
II. 니치 마케터 신생기업
2.1. 니치 마케터와 경쟁기업의 정의
2.2. 기업성과 비교
III. 품질충격과 시장충격
3.1. 충격의 도출
IV. 실증분석
4.1. 실증분석 모형
4.2 추정결과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