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11 개정 실과교과서의 ‘생활과 정보’ 단원 비교 분석

원문정보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nits on ‘Life & Information ’ in Practical Arts Textbook According to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김형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difference of the units on ‘Life & Information’ in six Practical Arts Textbooks According to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criteria were decided to be unit structure and page numbers. unit system, learning objectives, unit supporting materials, information quantity & quality, experience activity, contents element, ‘arrangement and evaluation, when it comes to the study method, content analysis which is appropriate for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was used.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 number of title was not the same as the component of contents described in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erms of composition of units, there were three stages: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wrapping up. The introduction and wrapping up stages were similar in terms of composition. The textbooks are similar external-structurally, but they have distinguishing specific contents with difference in contents structure and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various kinds of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aspects were discovered from textbooks. This researcher can prepare for the improvement plan in search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by textbooks. More careful consideration is required in the statement and guidelines for object of curriculum so that a verity of textbooks including the differentiated, abundant materials can be written from angl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other units on the framework suggested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referred to in the following textbook.

한국어

이 연구는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6종 검정 실과 교과서의 ‘생활과 정보’ 단원을 비교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분석 준거는 단원의 배치와 쪽수, 단원 구성 체제, 학습목표제시 유무 및 유형, 학습내용요소, 단원보조 내용 및 활동, 체험활동, 평가이다.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통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결과를 요약해 보면, ‘생활과 정보’ 단원은 1개 교과서를 제외하고는 모두 같은 6단원에 배치되었고, 쪽수는 거의 비슷하였지만 쪽수가 가장 많은 교과서와 가장 적은 교과서의 차이는 다소 있었다. 내용 측면에서 보면 내용 체제, 내용요소, 내용 제시 방식이 교과서 별로 차이가 있었다. 평가 측면에서 보면 평가하는 수나 유형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과서 개발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한다면 첫째, 검정 교과서의 장점은 보다 창의적인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차별성을 강조하다보면, 자칫 중요한 목표와 내용요소 등이 누락되거나 축소 될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교육부나 검정심의위원회에서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여 교과서 개발 업체 간에 심한 불균형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정보 단원은 습득한 정보 지식과 기능을 일상생활에 활용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하기 때문에,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의해서 개발될 실과 정보 단원은 수렴형 평가 유형이 더 많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실과 검정 교과서의 각 단원 별로 이와 같은 분석 연구가 조속한 시일 내에 후속 연구로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실과 검정 교과서의 분석 연구는 일선 학교에서 교과서를 채택하거나 교재 연구 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음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가 학교 현장에서 적극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2011 개정 교육과정 실과 교과서의 ‘생활과 정보’ 단원 내용 요소 비교
  2.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과 범위
  2. 분석 준거의 설정
  3. 분석 준거 타당도 검증
  4.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생활과 정보’ 단원의 배치 및 분량 비교 분석
  2. ‘생활과 정보’ 단원구성 체제 및 유형 비교 분석
  3. ‘생활과 정보’ 단원 내용 요소의 분석 및 배치 비교 분석
  4. ‘생활과 정보’ 단원 학습 목표의 진술 및 유형 비교 분석
  5. ‘생활과 정보’ 단원의 보조 자료 비교 분석
  6. ‘생활과 정보’ 단원 체험활동의 비교 분석
  7. ‘생활과 정보’ 단원 자료 제공의 빈도 비교 분석
  8. ‘생활과 정보’ 단원의 평가 유형별 빈도, 비중 비교 분석
  9. 종합 및 논의
 Ⅴ. 시사점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형균 Kim, Hyung-Gyun. 공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