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영

직무불안성성과 EVLN과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방해인식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research about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obstru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job insecurity and EVLN

이은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VLN and job insecurity of workers and to establish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obstru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job insecurity and EVLN. For the proof analysis of this research, a survey was done on 350 people on/off line.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Perceived organizational obstruction has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with job insecurity, exit, voice and neglec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perceived organizational obstruction by developing an theoretical model, incorporating the role of job insecurity and EVL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 the organization developing EVLN, job insecurity and improving workplace spirituality of employees needs to be considered for adapta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직무불안정성과 EVLN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조직방해인식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직장인 및 온라인 설문조사 사이트를 통해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직무불안정성은 조직방해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불안정성과 조직구성원의 불만족 반응행동인 EVLN 중에 이직과 발언, 태만간의 관계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충성심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방해인식이 직무불안정성과 EVLN간에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직, 발언, 태만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실무적 시사점은 직무불안정성이 높아진 최근 조직에서 구성원들에게 직무불만족 행동을 더욱 강화하는 매개변인으로서 조직방해인식이 중요하며 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모색해야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직무불안정성
  2.2 정서적 사건 이론과 사회적 교환이론
  2.3 EVLN (Exit, Voice, Loyalty, Neglect)
  2.4 조직방해인식
 3. 연구모형
 4. 연구설계
  4.1 표본의 구성
  4.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4.3 분석방법
 5. 분석결과
  5.1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5.2 변수 간의 기술통계량 및 상관관계
  5.3 가설검증
 6.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은령 Eun-Roung Lee.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박사과정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