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임경찰관의 다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Multiculture Awareness by New Police Officials

윤경희, 장일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Our society recognizes the police officer's multicultural multicultural era accredited by accrediting the study regarding the direction of the police officer's multicultural teaching seeks to present. These stud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imed at new police officers and 1 June 2015 until July 1 for multicultural awareness survey. Confidence of the police officers as a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and awareness, Multicultural Affairs is divided into interest. This study compare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perception of the accredited officers for multiculturalism ', usually a degree'. When I saw the confidence compared to the number of factors average stars police officers respect for multiculturalism (M = 4.10) the average score of factors most highly, then multiculturalism as a water-soluble (M = 3.70), multicultural openness (M = 3.50), other (M = 3.40) appeared to be the order of the factors.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accredited officer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 is the usual degree '. When I saw the confidence compared with average number of stars the factors the officers recognized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M = 4.10) and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the new police officers recognized for (M = 4.10) factors most highly recogniz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M = 3.10) is relatively low. Third, the multicultural business interests of police officers ' confidence about your job responsibilities and to carry out, directly or indirectly, do you think relevant? ' The example is 87.14% (243 persons) no higher than 12.9% (36 people), ' multicultural and would like to work? ' The example is 47.9% (215 persons) and no higher than the 22.9% (64 persons) appeared, Fourth, the new officers for the recognition of multiculturalism in General if you look at the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gender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In other words, women (M = 4.03) men (M = 3.86) multicultural awareness showed higher (p < 0.05). Fift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ccredited officers for the perception of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be aware of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education, showed that. Looking for age, 36-40 years old (M = 3.71)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other age appeared higher (p < 0.01), graduate education degree or higher (M = 3.66) and aerosol (M = 2.91), University (M = 3.12), dropped out of the University (M = 3.05)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highly appeared (p < 0.01).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confidence of police officers for multicultural acceptance will be expanding the training, multicultural education to raise awareness of the overall confidence for police officers about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activity to the enemy the opportunity to widen the multifaceted curriculum program will be followed. Finally, the newly appointed police officers in this comprehensive view of different cultures in so you can have confidence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one with the police.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사회의 다문화시대에 신임경찰관의 다문화 인식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서 신임경찰관의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신임경찰관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1일부터 7월 1일까지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신임경찰관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으로서 다문화 경험과 인식, 다문화 교육의 경험과 인식, 다문화 업무에 대한 관심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다문화에 대한 신임경찰관의 전체적인 인식은 ‘보통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 평균점수로 비교해 보았을 때 신임경찰관은 다문화에 대한 존중성(M=4.10) 요인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다문화 수용성(M=3.70), 다문화 개방성(M=3.50), 기타(M=3.40)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교육에 대한 신임경찰관의 인식은 ‘보통정도’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요인별 평균점수로 비교해 보았을 때 신임경찰관들은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M=4.10)요인과 신임경찰관의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M=4.10)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M=3.10점)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업무에 대한 신임경찰관의 관심도는 ‘귀하가 수행하는 직무가 다문화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에서는 예가 87.14%(243명)로 아니오 12.9%(36명)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다문화 직무를 하고 싶은 의향이 있습니까?’는 예가 77.1%(215명)로 아니오 22.9%(64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 인식에 대한 신임경찰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면, 성별에 따라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자(M=4.03)가 남자(M=3.86)보다 다문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p<0.05). 다섯째, 다문화 교육에 대한 신임경찰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연령과 교육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대해서 살펴보면, 36∼40세(M=3.71)가 다른 연령보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고(p<0.01), 교육정도는 대학원 이상(M=3.66)이 고졸(M=2.91), 대학교 재학(M=3.12), 대학교 중퇴(M=3.05)보다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p<0.01).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신임경찰관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며, 다문화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하여 신임경찰관들에게 다문화 경험활동에 대한 제반적 기회를 넓혀주고 다각적인 교육과정 프로그램이 선행되어야 할 것임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신임경찰관들이 다문화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신임경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경희 Yun, Gyeong-Hui.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연구교수
  • 장일식 Jang, Li-Sik. 중앙경찰학교 교수요원. 경찰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