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書畵 臨模행위의 미학적 가치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Aesthetic Values of the Act of Im-mo

서화 임모행위의 미학적 가치 연구

변명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analyze ‘im-mo’, the old tradition in oriental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find its significance. Im-mo refers to the act of copying and learning from masters’ and teachers’ works such as art books or portfolios in the process of creating one’s own work. Im-mo is sometimes criticized by people who solely focus on the act of ‘copying’. However, it serves as the basis in the creation of oriental paintings and calligraphy and has been widely performed regardless of genres including calligraphy and Sa-goon-ja (four gentlemen, which means drawings of the four plants: plum blosso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Especially, the act of creative im-mo has artistic and philosophical significance. If the act of im-mo can be seen as a process of realizing the principles of things by focusing on the inherent nature of the model works using paper, writing brushes, ink sticks, and physical techniques, the model works can be seen as a positive media which enables the person who copies to have a consistent sense of goal, pay undivided attention, and communicate with the original creator. It is because the models are full of aesthetic rules of art that cannot be experienced in everyday life. Like this, im-mo is a process to find the aesthetic rules inherent in model works and harmonize them using the tools of paper, writing brushes, and ink sticks and the artistic senses and techniques of the person who copies them. To acquire the aesthetics of senses, one should train senses through repeated act of im-mo, which narrows the gap between the body of the performer and the tools. The constantly repeated process of making tools a part of one’s body while copying the model objects can be considered a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better reasoning through experiential knowledge. This searching process matures human reasoning, lifts human spirit, offers pleasure, makes one surpass the boundary of reasoning, and eventually helps one reach the level of artistry that unites one with the nature.

한국어

본 논문은 동양書畵예술의 오랜 전통인 임모(臨模)행위를 미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새롭게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임모란 전통적인 서화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대가나 스승의 작품 혹은 첩(帖)이나 화보류를 베껴 쓰거나 그리며 배우는 행위를 말한다. 임모는 ‘베낀다’는 행위 자체에만 초점을 맞추어 창의성이 결여된 것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그러나 임모행위는 동양의 서화 창작의 근간이 되는 것으로 옛날부터 글씨와 사군자화 등 장르를 가리지 않고 널리 행해져 왔다. 특히 창작적 임모행위의 경우 그 예술적·철학적 의미가 크다. 임모행위가 지필묵이라는 도구와 몸 기술을 이용하여 모본에 내재된 자연성의 사실 하나하나에 몰입하여 사물의 이치를 깨닫는 격물치지의 과정이라면, 모본은 임사자가 일관된 목표의식을 가지고 제대로 집중하고 원작자와의 교감을 나누게 하는 긍정적 매개체 역할을 한다. 임모행위의 대상이 되는 모본에는 일상적 삶에서 맛볼 수 없는 예술의 미학적 법칙성들로 가득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임모행위는 지필묵이라는 도구와 임사자의 예술적 감각과 몸 기술로 모본에 내재된 미학적 법칙들을 발견하고 조화시키는 과정이기도 하다. 이러한 감각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임사자의 감각에 대한 훈련을 통해서 가능하며, 반복된 임모행위는 임사자의 몸과 도구의 간격을 차츰 일체화시킨다. 모본이라는 대상을 목표로 지필묵이라는 도구를 임사자의 몸 기술에 일체화시키는 부단히 반복된 과정은 체험적 지식을 통한 더 나은 사유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탐색의 과정은 인간 사유를 성숙시키고 정신을 고양시키며 즐거움을 줄 뿐 아니라 사유의 경계를 초월하게 함으로써 자연과의 합일로 이끄는 ‘예도(藝道)’의 경지이기도 하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임모(臨模)의 의미
  1. 임모의 개념과 종류
  2. 이론적 배경과 의미
 Ⅲ. 임모행위의 미학적 특성
  1. 체험적 지식의 사유
  2. 정신성의 고양과 즐거움
  3. 자연성(自然性)의 획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변명희 Byun, Myung Hee.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