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의약품 표시와 관련 규정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원문정보

Consumer’s Perception on Medicine Labels and Related Regulations

조성혁, 김정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information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consumers became well informed through all sorts of mass media, yet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leaves much to desire. Especially in case of medicine consumers must exercise great caution, as the managing needs professional training and the misuse may critically damage consumer's health and even life. Accordingl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consumers' perception of and demand for general consumer awareness about medicine labels. This study will thus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concern with current situation on medicine label and consumers' perception on it, and act as preliminary one for further studies. This study distributed 540 questionnaires to male and female respondents in the 20s to the 60s, and recollected them. Excluding 34 questionnaires that responded improperly, this study utilized 506 questionnaires to analyze the data. First, referring to the confirmation level of medicine labels, the respondents seemed to check medicine labels relatively well. However, regarding the matters of ‘confirmation of ingredients of medicines’ and ‘confirmation of tablet imprint code system’, the respondents did not confirm these so well as other items. Secondly, the respondents scored below-average in terms of the level of perception on the regulations about medicine labels, meaning that they did not know much about the regulations about medicine labels. In the matters of both utilizing the system of reporting side effects of medicine products and inquiring compensation for the harm done by side effects, the respondents scored even lower. Thirdly, in concern with the confirmation of medicine labels,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ue to gender. Female respondents confirmed medicine labels better than male ones. Also, marital status was found to mak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well. Married respondents seemed to be better aware of the regulations than unmarried ones. Fourthly, when asked if they had trouble with the current medicine labels and if improvements were necessary, the respondents strongly recognized the need to make them better.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Current medicine labels should be changed by reflecting consumers' needs and complaints, so that they are more readable, noticeable, and comprehensible. Also, improvements on system should be made so that there are more channels for information acquirement and communications. Proactive promotion and consumer education are also necessary. Thus, the manufacturers and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on medicine label and provide enough comsumer education to keep them well informed.

한국어

현대사회는 과거에 비해 인터넷 등이 발달함에 따라 의약품에 관련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지만 한편 으로는 잘못된 정보를 많이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의약품의 경우 전문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물품임과 동시에 건 강과 생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구매부터 사용 및 보관, 처리까지 소비자들의 세심한 주의가 요 구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 스스로 의약품의 표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활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각종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도 적절히 대처함과 더불어 의약품을 올바르게 활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의약품 표 시와 관련 규정에 대한 소비자의 전반적인 인식에 대해 파악해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강구해 보고자 하였 다. 식품 등 다른 품목에 비해 의약품 표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표시제도와 특히 의약품 표시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 파악과 표시 및 관련 규정에 대한 인식 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의약품 표시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서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총 54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으며 이중 응답이 부정확한 설문지 34부를 제외한 506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체 응답자들이 의약품 표시를 확인하는 수준은 평균 이상으로 비교적 잘 확인하고 있었다. 다만, 의약 품의 성분 확인 및 낱알식별표시의 확인에 있어서는 다른 문항들에 비해서 확인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응답자들의 의약품 관련 규정 인식 수준은 평균 이하로 나타나 대부분 규정 또는 제도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었으며 그 중 부작용 보고(신고)제도나 부작용 피해구제제도에 대해서는 다른 문항들에 비해 더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응답자들의 성별에 따른 의약품 표시 확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성소비자들이 남성소비자들에 비해 잘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 여부에 따른 규정 인식 정도는 기혼자가 미 혼자보다 더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약품 표시에 대한 불만과 요구사항을 알아본 결과 개선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를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의약품 표시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과 요구를 반영하여 알기 쉬운 용어로 변경하고 표시를 좀 더 눈에 띄고 읽 기 쉽도록 하며 정보 획득 및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창구 개설 등의 제도적 개선과 홍보 및 소비자교육이 필요 하다. 따라서 의약품의 제조회사(기업), 정부기관은 충분한 표시 정보 제공과 함께 사회 소비자 교육을 통한 소 비자 정보화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표시제도
  2. 의약품 표시제도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자료 수집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2. 의약품 표시 확인 및 관련 규정에 대한 전반적인식 실태
 Ⅴ. 결론
  1. 연구 요약 및 함의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성혁 Cho, Sung Hyeok. 안동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석사
  • 김정희 Kim, Jeong Hee. 안동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